[스타트업의 神] 쓰리빌리언, 유전자 분석 신시장 연다

입력 2017-08-14 17:25
수정 2017-08-14 17:51


<앵커>신기술과 스타트업을 통해 미래 투자 방향을 살펴보는 시간, '스타트업의 신'입니다.

오늘은 신인규 산업부 기자와 함께 미래 신기술과 유망 스타트업 살펴보겠습니다. 오늘 소개할 스타트업은 어떤 곳입니까?

<기자>

네. 오늘 소개할 기업은 유전자 진단 원천기술을 가진 스타트업, 쓰리빌리언입니다. 헬스케어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습니다.

<앵커>헬스케어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꾼다. 자세하게 설명해주시죠.

<기자>

혹시 미국의 유명 배우인 안젤리나 졸리가 유방암 예방을 위해서 암 발생 전에 멀쩡한 유방을 절제했다는 사실 알고 계십니까? 안젤리나 졸리는 어머니가 유방암으로 세상을 떠났는데, 유전자 진단 결과 본인도 유방암 발병 인자인 브라카 유전자가 양성으로 나타나서 유방 절제 결정을 했다고 합니다.

안젤리나 졸리 사례처럼 유전자 분석을 통해서 희귀병에 걸릴 가능성을 미리 살펴보거나, 또는 일반 병원에서 원인을 몰라서 제대로 치료하지 못하는 희귀병들을 유전자 분석을 통해 정확하게 진단해내는 시장이 열리고 있습니다. 유전체 의학을 통해서 열리는 새로운 헬스케어 시장인데요. 그런데 이런 치료를 받으려면 환자 입장에서 제일 걱정되는 게 어떤 것이겠습니까?

<앵커> 아무래도 비용이 아닐까요?

<기자>

그렇습니다. 어느 시장이든 초기에는 엄청나게 높은 비용이 들죠. 유전자 해독만 해도 게놈프로젝트라고 해서 많이 들어보셨겠지만 사람의 유전자 지도를 처음 해독하는데 우리 돈 3조원이 들었는데요. 그동안 비용이 많이 떨어져서 이제는 단일 유전자에 대한 검사 비용이 미국 기준 1,000달러, 우리돈 100만원대까지 떨어졌습니다. 한 번 진단에 하나의 유전자 변이에 대해 살펴볼 수 있는 겁니다. 하지만 내가 어떤 유전자 변이를 갖고 있지 모르는 상황에서 이 유전자 검사 한 번, 저 유전자 검사 한 번, 이렇게 받아보기에는 위험성이 클 겁니다.

쓰리빌리언이 유전자 진단 원천기술을 갖고 있다고 설명드렸죠. 쓰리빌리언은 유전자 검사 한 번에 4,800여종에 대한 희귀 질환 분석이 가능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에서 신청해 집으로 온 플라스틱 용기에 침을 뱉어 보내면 약 4주 뒤에 유전자 분석 결과를 받아보는 방식입니다. 100만원 대에 종합적인 희귀 질환 유전자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건데요. 다시 말하면 유전체 의학이라는 헬스케어 시장의 신산업을, 비용 측면에서 일반 환자들이 이용 가능한 영역으로 끌어온 겁니다. 올해 8월까지 미국에서 테스트 서비스를 하고, 내년부터는 상용화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이들이 갖고 있는 기술과 사업 모델은 글로벌 스타트업 인큐베이터인 1776의 스타트업 경진대회에서 인정받아 한국지역에서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습니다.

<앵커> 그런데 이 스타트업의 사업모델이 희귀 질환 유전자 검사 서비스라고 했죠. 전세계 헬스케어 시장이 커지고 있다고 하지만 희귀 질환이라고 하면 이 스타트업이 뛰어든 시장의 규모가 얼마나 될지가 궁금한데요.

<기자>

말씀하신대로 희귀 질환 하나 하나의 발병률은 1만명 중 한 명, 100만명 중 한 명 꼴로 낮습니다. 하지만 현재 알려진 희귀 질환 7,000여종을 모두 합쳤을 때의 발병률은 20명 가운데 1명, 전세계 인구의 5%는 어떤 희귀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조사됩니다. 그리고 이들 희귀 질환 환자들은 치료에 대한 욕구도 굉장히 높고요. 쓰리빌리언은 국내가 아닌 미국에서 사업을 먼저 시작하려고 하는데, 미국에서 희귀 질환 진단 서비스에 대한 니즈가 있는 환자군만 연간 20만명 이상, 매년 2조 7,000억원 규모의 시장이 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그리고 쓰리빌리언은 또 하나의 사업 모델을 내놓고 있는데요. 획기적으로 저렴한 서비스를 통해 희귀병 환자의 유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해서 유전 정보 관련 플랫폼을 만드는 겁니다. 유전 정보 시장의 '구글'이 되겠다는 건데요. 인간 유전 정보가 필요한 제약회사에게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고, 유전 정보 분석을 통해 개인 맞춤형 보험이나, 개인 맞춤형 의료 광고 시장 등도 열 수 있다는 겁니다. 금창원 대표의 말을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인터뷰> 금창원 쓰리빌리언 대표

“한 마디로 유전자 정보 시장의 구글이 되는 겁니다. (쓰리빌리언도) 마찬가지로 구글과 같은 개인 정보 회사가 됩니다. 궁극적으로. 어떤 개인정보를 가지고 있냐고 하면 개인의 게놈 정보,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병력과 다양한 헬스케어에 관련된, 피노타입이라고 합니다. 그런 정보를 가지고 있는 개인 정보 회사가 됩니다. 결국은 어떤 회사가 제공하는 제품이 가장 강력한 킬러 애플리케이션이 될 거냐에 따라서 플랫폼에 쌓이는 사람들의 숫자가 바뀔 겁니다. 쓰리빌리언은 희귀 질환 환자들에게 도움을 주는 게 첫 번째 목표지만, 궁국적인 목표는 많은 사람들이 플랫폼을 이용해서 게놈을 분석하고 활용하는 다양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회사가 되는 게 목표입니다.”

<앵커>알겠습니다. 그런데 이 스타트업이 우리나라가 아닌 미국에서 사업을 시작하는 이유가 있습니까?

<기자>

하나는 전략적으로 글로벌 서비스를 염두에 둔 행보라는 게 쓰리빌리언의 설명이고요. 또 하나의 이유는 우리 정부에 시사점이 있는 내용인데, 한국에서는 생명윤리법에 따라서 체질량지수, 카페인 대사, 혈압 등 12가지 법적으로 명시된 항목 외에는 유전자 검사가 금지가 되어 있습니다. 유전자 연구 초기인 90년대 중반에 만들어진 규제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포지티브 규제라고 하는데, 법에 명시된 몇 가지 빼고는 다 해서는 안 됩니다. 반대로 미국 같은 경우 네거티브 규제인데, 법에 해서는 안 된다고 써진 몇 가지 빼고는 할 수가 있습니다. 미국이 유전자 시장에서 네거티브 규제를 도입한 데는 이유가 있습니다.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발전하는 시장에서 정부의 정책이 걸림돌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건데요. 우리나라에도 시사하는 바가 있어 보입니다.

<앵커>오늘 스타트업의 신은 여기까지입니다. 신 기자, 수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