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준의 변신은 무죄, 금리인상 걸림돌 '물가'

입력 2017-07-26 14:44


[증시 라인 11]

- 기획 : 조주현, 이봉익

- 연출 : 박두나

- 앵커 : 김동환 경제 칼럼니스트 /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객원연구위원

- 출연 : 홍춘욱 키움증권 이코노미스트

최근 미국 연준 위원들은 비둘기적인 발언을 연이어 내놓고 있다. 연준 내 매파적인 인사로 분류되는 필라델피아 연준 총재가 최근 인플레 둔화를 감안할 때 금리 인상에 휴지기가 필요하다고 한 언급이 대표적이다. 이어 옐런 연준 의장도 의회 청문회에서 정책금리를 점진적으로 인상하는 게 적합하다고 밝혔고, 연준 내 대표적인 비둘기파인 브레이너드 연준 이사는 낮아진 중립금리 수준을 감안할 때 금리 인상과 관련해서 연준이 더 이상 할 게 없을 지도 모른다고 밝혀 이전보다 비둘기적인 색이 더 강해졌다.

당사는 연준 인사들의 태도가 변화한 이유를 정체된 임금 상승률에서 찾고 있다. 왜냐하면 임금 개선이 계속 더디게 진행된다면 근원물가도 낮은 수준에서 머물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연준은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 둔화에 대해 통신비와 의료비 하락에 따른 일시적인 요인에 기인한 것이고, 타이트한 노동 수급으로 인플레 압력이 높아질 것임을 계속해서 주장해왔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6월 FOMC에서 정책금리를 인상했다. 하지만 근원 소비자물가는 연준의 주장과 달리 일시적인 하락요인이 해소된 이후에도 빠르게 반등하기가 쉽지 않다. 2015년 중반 이후 이어진 근원 소비자물가의 주된 상승 배경이 임금 개선을 통한 서비스물가의 반등이었기 때문이다. 2015년 이후 임금은 노동시장 여건이 개선되면서 오름세를 보였고, 이를 통해 서비스물가도 상승했다. 임금 상승은 인플레 기대 및 경기 개선을 바탕으로 이어지는 만큼 늘어나는 수요에 맞춰 가격 인상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물가는 서비스 물가에 의해 움직이는 경향이 강하다. 소비자물가지수의 구성 비중을 보더라도 서비스는 약 64%를 차지한다. 특히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상품 가격지수는 2011년 말을 고점으로 계속해서 둔화되고 있다. 이는 미국 근원물가가 상승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물가 상승이 중요하며 임금 개선이 동반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6월 고용보고서를 보면 비농가 신규고용이 20만 명 이상 늘어났지만 시간당 임금상승률은 전년대비 2.5%에 그쳤다. 지난 해 시간당 임금상승률 평균이 2.6%였음을 고려하면 시장 예상보다 개선세가 매우 더딤을 알 수 있다. 임금 상승률의 정체 원인에 대해 인구구조 및 생산성 등 구조적인 논쟁을 차지하더라도 단기적으로 트럼프 재정정책 불확실성이 높아 기업이 투자를 적극적으로 늘리며 고용이나 임금 상승을 유도할 가능성은 현재로는 크지 않다. 또한 저물가 기조 지속 속에 인플레이션 기대가 낮게 형성되어 있어 수급 상황이 타이트한 숙련공을 제외하면 임금 상승에 대한 요구나 기대가 높지 않은 상황이다. 그렇다면 임금 상승세가 당분간 정체되면서 서비스물가도 반등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연내 미 연준의 금리인상 가능성은 크게 후퇴한 것으로 판단된다.

연준의 금리 인상이 예상보다 지연된다면 달러 흐름은 어떻게 될까? 달러 흐름과 밀접하게 움직이는 실질 정책금리의 우상향 흐름이 매우 느리게 진행되면서 달러의 약세 흐름도 연장될 것으로 예상한다. 이는 트럼프 정부 입장에서 보면 달러 약세를 통한 경상수지 개선이라는 목표와도 잘 부합한다.

또한 하반기 중 유럽중앙은행이 경기 개선과 매입할 자산이 부족하다는 현실적인 이유로 양적완화 축소 계획을 발표한다면 유로화의 강세 영향으로 달러 약세 압력이 지속될 것으로 본다. 물론 유럽중앙은행의 금리 조정은 물가에 민감한 만큼 임금상승 압력이 낮음을 고려할 때 금리 인상까지는 시간이 한참 필요하다.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참고하세요]

★ 증시라인 11, 평일 오전 11시 L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