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대해부②] IPO 심사 전문성 부재...시장 성장 옥죈다

입력 2017-06-13 17:34
<앵커>

한국경제TV가 침체된 코스닥 시장의 문제점과 해결책을 찾기 위해 마련한 코스닥 대해부 시리즈,

오늘은 그 두 번째로 IPO심사 기준의 차별성과 전문성 부재 문제를 짚어봅니다.

신용훈 기자 입니다.

<기자>

현재 코스피와 코스닥 상장 기준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기업의 규모.

코스피의 경우 자기자본 300억원 이상 최근 매출액 1,000억원 이상이어야 하고, 코스닥은 자본금 30억원 이상 최근 매출액 100억원 이상이 돼야 상장이 가능합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기업의 특성이 아닌 규모에 맞춰 시장을 선택하는 행태가 반복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상장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경우 바이오 기업임에도 불구하고 코스피에 입성했고,

코스닥 시총 2위 기업인 카카오는 IT기업 임에도 코스피 이전상장을 결정했습니다.

기업의 특성이나 성장성 보다는 규모에 따라 시장이 양분되고 있는 셈입니다.

이처럼 코스닥이 미국의 나스닥처럼 시장의 특성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양적인 성장에만 지나치게 치중하고 있다는 점을 가장 큰 문제로 꼽고 있습니다.

시장조성자인 거래소가 신규상장 기업수를 늘리는데만 급급한 나머지 상장 심사과정에서 성장성이 있는 기업을 제대로 발굴하지 못하고 있다는 겁니다.

<인터뷰>김갑래 자본시장연구원 박사

"거래소에서 적극적인 마케팅을 통해서 발굴하고 상장심사과정에서 성장성 있는 기업들을 필터링해내는 그러한 질적심사가 이뤄지지 못한겁니다.질적 심사의 역량이나 정책 문제인 겁니다"



해외 거래소처럼 유망기업을 선별하고, 우량 기업에 헤택을 주는 등의 방식을 통해 시장의 성장을 도모해야 한다는 겁니다.

전문가들은 또, 부실화된 기업들이 시장에 악영향을 미치기 전에 선제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시장 관리능력 역시 배가 시켜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한국경제TV 신용훈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