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훈 원장이 한국인 최초로 미국 SCI에서 발행되는 안과학 Ophthalmology 저널에 ICL(안내렌즈삽입술) 관련 논문을 등재했다. 등재된 논문은 ICL의 부작용 발생확률을 낮추고 있는 '오차없는 안구공간 측정시스템'이라는 논문이다.
ICL은 눈 속의 수정체와 홍채 사이에 특수렌즈를 삽입하여 시력을 교정하기 때문에 각막 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지만, 안구 크기에 맞지 않는 렌즈를 삽입하게 될 경우에는 부작용 발생 위험이 존재한다.
즉, 안구 공간 크기보다 작은 렌즈를 삽입하게 될 경우 렌즈가 안정적으로 위치하지 못하고, 렌즈 하단에 있는 수정체에 자극을 주어 백내장 발생의 여지가 있다. 반면에 안구 공간 크기보다 큰 렌즈를 삽입하게 될 경우에는 눈 안에 흐르고 있는 방수가 막히거나 홍채가 심하게 앞으로 밀리게 되어 심한 경우 녹내장 발생 위험이 있다.
안구공간을 고려하지 않은 일괄적인 렌즈 크기선정
ICL 부작용 발생의 원인은 바로, 삽입하는 렌즈의 '크기'에 있다. 즉, ICL 부작용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환자 개개인의 안구 공간에 딱 맞는 크기의 렌즈를 삽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정확한 측정을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초음파를 사용한 안구 공간 측정법은 95%의 정확도를 가지고 있어 5% 착오로 인한 부작용 발생의 위험이 존재한다.
미국 ophthalmology에 등재된 이동훈 의료진의 오차 없는 안구 공간 측정시스템
이러한 초음파를 사용한 안구 공간 측정법의 5% 한계를 극복하여 ICL 부작용을 예방하는 방법이 바로 이동훈 의료진이 고안한 '오차 없는 안구 공간 측정시스템' 이다.
이는 100% 정확한 환자의 안구 공간 측정을 위해 수립한 공식으로 이 측정시스템에 따르면, 단순히 초음파촬영에서 측정을 끝내는 것이 아니라, 근시량 o 눈의 겉과 속 크기 차이 o 안구장축길이 o 홍채 및 수정체모양 등 변수로 작용 될 수 있는 인체의 모든 값을 고려하여 안구 공간을 측정한다. 따라서, 머리카락 굵기 정도인 1㎛(마이크로미터)의 아주 미세한 오차까지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기존의 불완전한 측정방식의 오차를 개선하여, 겉으로 보이지 않는 안구 내부의 공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정확한 측정을 통해 개인의 눈에 딱 맞는 렌즈 크기를 적용함으로써, ICL의 대표적인 부작용인 백내장과 녹내장을 예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오차없는 안구공간 측정시스템을 고안한 이동훈 원장은 2017년 3월 미국의 ICL 제조사인 STAAR로부터 난시교정 ICL 레퍼런스 닥터로 선정됐다. 또한 지난달 열린 '제3회 아시아 태평양 EVO Visian ICL 전문가 심포지엄(2017 APAC EVO Visian ICL Experts Meeting)'에서 Toric 500 Award(난시교정용 Toric ICL 500안 달성 기념패), Continuing Education Award(연구 교육 공로상)을 수상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