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3.0 전국N] 인천시, 균형성장 '박차'...구도심 르네상스 연다

입력 2017-04-21 18:52
<앵커>

주요 지방자치단체의 개발소식과 부동산 시장의 동향을 짚어보는 지역포커스 시간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지역은 인천광역시입니다.

인천광역시는 송도와 영종, 청라신도시 등 경제자유구역과 구도심의 격차가 벌어지고 있어 사회적으로도 이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단 목소리가 높은데요.

부동산 팀 고영욱 기자와 함께 균형성장을 위한 인천시의 개발계획에 대해 짚어보겠습니다.

고영욱 기자, 먼저 인천시에 대해서 소개해주시죠.

<기자>

네 인천광역시는 우리나라에서 서울 부산 다음으로 큰 대도시죠.

특히 송도, 영종, 청라 이 경제자유구역 3총사가 지난 2003년 생긴 이후 도시가 급성장하면서 지난해 10월에는 처음으로 인구 300만을 돌파하기까지 했습니다.

하지만 인천경제자유구역의 개발효과가 이 외 지역으로 파급되지 못하고 있다는 게 문제입니다.

실제로 인천발전연구원에 따르면 경제자유구역 3총사가 현재 인천시 전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4%, 나머지 전체가 56%인데요 경제자유구역 쪽의 비중이 점점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

양극화 현상, 개발 쏠림현상, 부의 불균형 현상이 점점 심화되고 있는 건데요. 아파트 값에서도 극명하게 드러납니다.

<앵커>

얼마나 차이가 나나요?

<기자>

네, 예상하시겠지만 가장 비싼 곳은 송도입니다. 3.3m²를 기준으로 했을 때 1,300만원 정도 하는데요, 이어 청라가 1,100만원 영종이 940만원입니다.

인천 평균이 880만원, 강화군을 제외하고 제일 낮은 동구가 685만원인데 송도에 절반 수준에 불과한 겁니다.

<앵커>

이렇게 차이가 나면 균형개발에 대해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겠네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인천시민 분들은 누구보다도 잘 아시겠지만, 제가 이번 주 인천지역을 돌아다니면서 취재해보니 구도심 개발에 대한 요구가 굉장히 높았습니다.

특히 중구 송월동과 남구 숭의동 일대는 대로변 몇 집만 제외하고 사람이 살지 않는 공가였고, 인천 최대 관광지인 차이나타운 일대도 조금만 벗어나면 ‘대도시가 맞나’ 하는 풍경이 펼쳐졌습니다.

실제 통계를 보면 중구와 동구 남구, 부평구 등 4층 이하 저층 주택이 모여 있는 곳에서 다섯 집 중 한집은 지어진지 30년 이상 된 노후주택인 것으로 나타나는데요.

한 시기에 집중적으로 공급된 탓에 오는 2020년이면 30년 이상 노후주택이 세집 중 한집으로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천시는 이런 불균형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는데요. 제가 직접 신동명 인천시 도시균형건설국장을 만나 이야기를 듣고 왔습니다. 함께 보시죠.

<대담-기자>

Q1. 인천광역시 도시균형건설의 성과와 앞으로 추진방향은?

<인터뷰> 신동명 / 인천광역시 도시균형건설국장

“인천의 원도심 재생 대표적인 사업은 도화구역의 재개발 재건축. 그리고 루원시티 같은 경우의 토지 매각과 기반시설 조성을 시작했고요 또 개항창조도시라고 해서 인천 내항을 중심으로 문화관광 벨트가 국가공모선정 사업에 선정됐다는 것. 또 주안 이사동에 4백 병상의 여성 전문병원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 또 경인고속 일반화 사업도 원도심의 원동력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앵커>

굉장히 여러 가지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네요. 루원시티나 개항창조도시 같은 경우는 조금 생소한 분들도 있을 것 같은데 어떤 곳인가요?

<기자>

네 먼저 루원시티는 인천 서구 가정동 오거리를 중심으로 개발하는 신도시사업인데요. 서울의 뉴타운과 비슷합니다.

위치가 청라신도시와 바로 맞닿아있는데다 서울지하철 7호선 청라연장선과 인천지하철 2호선이 지나가는 더블역세권인데, 인천시는 이곳에 인천도시공사를 비롯한 산하 공사와 공단을 입주시켜 행정타운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입니다.

개항창조도시는 지난 2015년 국토교통부가 선정한 도시재생사업입니다. 오는 2021년까지 6천억원을 투입해 월미도·내항·인천역 일대에 상상플랫폼과 같은 특색 있는 사업을 추진하는 겁니다.

또 최근에 동인천 르네상스 프로젝트도 진행 중인데요. 70~80년대 대표적인 번화가였던 동인천 지역을 부활시키기 위해 인구 1만5천명의 미니 신도시를 짓고, 동인천역 주변에 호텔과 MICE시설 등을 유치할 계획으로 알려졌습니다.

<앵커>

도시의 모습이 이렇게 크게 바뀌면 교통망의 변신도 필요할 것 같은데, 인천시가 경인고속도로를 일반도로로 만든다면서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이 사업은 인천시민들의 오랜 염원이기도 한데요. 출퇴근 시간 경인고속도로를 이용해보신분들은 아시겠지만 교통정체가 극심해 고속도로로 보기 힘들 때도 있습니다.

그래서 인천시민들은 통행요금 폐지를 시작해 경인고속도로 일반화와 지하화를 지속적으로 요구해왔는데요.

이제 이 사업이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계속해서 신동명 국장 이야기를 들어보겠습니다.

<대담-기자>

Q2. 경인고속도로 일반화사업은 어떻게 추진되고 있나?

<인터뷰> 신동명 / 인천광역시 도시균형건설국장

“경인고속도로는 1968년에 준공이 돼서 그 때 당시에 도시 외곽에 있었는데 도심 내에 있다보니까 환경피해를 유발하고 있어서 인천시에서는 2015년 12월에 국토부와 이관협약을 체결했고요. 이와 더불어서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및 주변지역 활성화 용역을 마무리 했습니다. 그 근거를 가지고 지역별로 생활권별로 주민설명을 진행하고 있고요. 그게 마무리 되면 올해까지 최종 개발구상이 확정되지 않을까 합니다.”

<앵커>

이 사업이 추진되면 인천이 어떻게 변하게 되는 건가요?

<기자>

아주 큰 의미가 있습니다. 인천 구도심 지역을 관통하는 경인고속도로가 일반 도로로 바뀌면 지난 수십년간 가로막혀 온 지역발전이 가능해지는 겁니다.

쉽게 말해 우리 집 앞에 있던 고속도로가 없어지고 일반찻길이 생기는 건데, 일반도로 옆에는 상가도 들어오고 카페도 들어오고, 문화시설도 들어오고, 공원도 생기고 할 수 있잖아요. 그런 점을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인천시는 이렇게 경인고속도로를 일반도로로 만들고 지하화해 생활권 별로 도시를 재생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앵커>

네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