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플랜 vs 자율조정...대우조선 회생 가능성은

입력 2017-04-14 16:19


■ 대우조선해양이 'P플랜' 1호 기업이 된다면?

국민연금이 채무조정안에 동의를 하지 않으면 대우조선해양은 초단기법정관리, P플랜을 적용받게 됩니다.

법원이 강제로 대우조선해양의 빚을 조정해주고 채권단인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기업 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분담해 지원하는 겁니다.

P플랜을 통하면 신속히 대우조선을 정상화할 수 있다는 게 채권단의 계획이지만, 대규모 수주산업인 조선업의 특성상 대우조선의 회생 가능성은 크게 낮아졌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대우조선의 초단기 법정관리, P플랜 돌입이 확정되면서 가장 먼저 우려되는 것은 대규모 선박 계약 취소입니다.

조선사가 법적 회생 절차에 들어가게 되면 선주들은 선박 정상건조가 어렵다고 판단해서 계약서상에 이 경우 선박건조 계약을 취소하는 조항을 마련해 놓는데, P플랜도 여기에 해당됩니다.

산업은행은 P플랜 돌입시 대우조선이 건조하는 배 가운데 발주처가 계약을 취소할 우려가 있는 선박은 8척으로 추산하고 이에 따른 피해액은 7,000억원 규모로 잡고 있습니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8척은 이미 계약 취소가 확실하고, 앞으로 취소 가능성이 절반이 넘는 선박도 40척에 이를 것으로 전망합니다.

신규 수주를 기대하기도 어려워지기 때문에, 대우조선 뿐 아니라 협력사의 잇따른 도산 가능성도 높아집니다.

대우조선 협력사를 비롯한 조선기자재업계는 “P플랜이 추진되면 1300여 협력업체와 조선 기자재 산업 생태계가 무너질 것”이라는 우려를 내놓은 바 있습니다.

■ 대우조선, 자율조정시 회생 가능성은?

국민연금의 채무조정 동의를 시작으로 사채권자 집회에서도 채무조정안 동의로 결론이 나면 대우조선은 기존 수주계약 취소라는 최악의 상황은 면하게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우조선해양이 자율적 구조조정으로 살아날 수 있느냐에 대해서는 시각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조선업계에서는 대우조선의 자구책이 통할 수 있는지에 대해 물음표를 던집니다.

우선 자율적 구조조정을 통해 대우조선해양의 규모를 축소하고 내년까지 매각하겠다는 계획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됩니다.

정부 계획의 근거였던 글로벌 선박 발주 전망은 6개월 사이 20% 하락했습니다.

유동성 부담을 줄이기 위한 대우조선해양의 자구안도 역시 목표에 미치고 있지 못합니다.

대우조선해양이 내놓은 자구안 계획은 인건비 절감과 자산매각을 더해 5조4,000억원 확보인데, 3월 말까지 이행 금액은 약 1.8조원 수준입니다.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할 잠재 후보군을 찾기도 어렵다는 게 업계의 시각입니다. 채권단의 계획대로 진행될 경우 대우조선해양은 5년 뒤 매출 6조원 대에 영업이익률 1%, 덩치는 크고 수익성은 낮은 회사가 되기 때문입니다.

연결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앞으로 대우조선해양이 선박 건조 기한을 넘긴 탓에 지불할 가능성이 높은 배상금액은 5,580억원에서 최대 1조1,136억원에 이릅니다.

배를 지은 뒤에도 받지 못한 금액을 뜻하는 미청구공사는 4조4,000억원 규모인데, 외부감사인은 이에 대해 "회수가능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조선업 시황이 예상과 달리 회복되지 않으면, 대우조선에 대한 혈세 투입이 청산까지 걸릴 시간만을 늦추는 미봉책에 불과할 수 있다는 우려가 높습니다.

그나마 대우조선에 긍정적인 것은 2020년 이후 시행될 선박 배출가스 관련 국제 규제입니다.

선박 건조 기간을 고려하면 선사들은 올해 하반기부터는 교체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 경우 LNG선 건조에 강점을 지닌 대우조선이 수주 활동에서 혜택을 볼 수 있을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