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역할 못하는 코넥스…활성화 '의문'

입력 2017-02-15 09:10
<앵커>

금융당국이 코넥스에서 코스닥시장으로 이어지는 성장사다리체계 강화에 나섰습니다.

코넥스시장의 성장을 자평하면서 코넥스시장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정비에 나서기로 한건데, 시장의 반응은 그리 우호적이지 않습니다. 박승원 기자의 보돕니다.

<기자>

지난 2013년 창조경제의 성장사다리로 불리며 중소·벤처기업 전용시장으로 야심차게 출범한 코넥스시장.

개장 이후 시가총액이 9배 급증하고, 141개 기업이 3천억원이 넘는 자금 조달에 성공했습니다.

특히, 코넥스시장을 통해 코스닥시장으로 이전 상장한 25개 기업들은 코넥스 상장의 성공사례로 꼽힙니다.

금융당국이 코넥스시장의 성공적 안착을 자평하는 이유입니다.

금융당국은 여기서 더 나아가 코넥스시장이 크라우드펀딩, 코넥스, 코스닥으로 연결되는 자본시장의 성장사다리 체계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에 나선다는 방침입니다.

<싱크> 정은보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성장잠재력을 갖춘 초기 기술기업들의 코넥스시장 진입을 보다 원활히 하기 위해 기술특례상장제도를 개선해 나가겠다. 보다 많은 코넥스기업들이 코스닥시장으로 원활하게 이전해 나갈 수 있도록 신속이전상장 제도를 정비하겠다."

코넥스시장의 외형과 당국의 정책적 지원만 보면 나쁘지 않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상황은 달라집니다.

현재 코넥스시장은 거래 부진으로 기업의 자금조달 창구란 본연의 역할이 미흡한 실정입니다.

실제 지난 1월 코넥스시장의 일평균 거래대금이 9억원으로 2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해 여전히 많은 수의 코넥스 기업들이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자금조달 보단 오히려 벤처투자가의 자금회수 창구 역할에만 치우쳐 있습니다.

특히, 코스닥으로 이전 상장한 기업들의 경우 자금을 회수하려는 기관의 매도 물량에 밀려 급락세를 겪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외국인과 기관이 코넥스시장에서 매도 물량을 받아줘야 하는데, 그러지 못하다 보니 코스닥 상장을 투자금 회수 기회로 보고 한꺼번에 빼내는 겁니다.

금융당국이 밝힌 신속이전상장 제도의 개선도 단기간 큰 효과를 보기 어렵다는 지적입니다.

<전화인터뷰> 금융투자업계 관계자

"이미 신속이전상장 제도가 들어와 있고, 그것을 예를 들어 신속이전상장 기준을 조금 더 낮춰준다던지 그런 식의 조치일텐데 지금도 신속이전상장에 큰 허들(장벽)이 있다고 보긴 어려운 상황이다. 정비한다고 해서 신속이전상장이 갑자기 늘어나기 어렵다."

결국, 코넥스시장이 중소·벤처기업의 성장사다리 역할을 다하기 위해선 유동성을 보강하고, 기관들의 적극적인 시장참여를 위한 제도 마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지적입니다.

한국경제TV 박승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