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금융당국이 50억원 미만인 일명 자투리펀드의 정리작업을 내년 2월말까지 1년 더 연장하기로 했습니다.
펀드 운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투자자 보호를 위한 조치라는데, 오히려 자산운용사와 투자자의 입장은 전혀 고려하지 않은 처사란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박승원 기자의 보돕니다.
<기자>
지난해 말 기준 50억원 미만 자투리펀드는 총 126개.
2015년 6월 말(815개)과 비교하면 1/6수준으로 줄었습니다.
자투리펀드의 숫자가 급감하면서 전체 펀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7.2%로 대폭 낮아졌습니다.
금융당국은 올해 역시 자투리펀드를 더 정리해 전체 펀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5% 내외로 맞춘다는 계획입니다.
이에따라 신규펀드 설정 제한을 담은 모범 규준을 내년 2월까지 연장해 시행한다는 방침입니다.
문제는 증시가 여전히 불안한 상황에서 무리한 정리작업에 착수하다 보니 투자자들의 원성이 높다는데 있습니다.
펀드 운용의 효율성과 투자자 보호라는 명목으로 정리작업이 진행되고 있지만, 정작 투자자의 이익을 해치고 있다는 겁니다.
<전화인터뷰> 황 모씨 / 직장인 36세
"지난해 기존 가입한 펀드가 내 의사와 상관없이 없어진다고 들어 해지했다. 펀드 수익률도 나쁘지 않았는데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정부의 방침 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 들었는데, 솔직히 지금도 이해가 잘 되지 않는다."
특히, 지난해 국내증시는 물론 해외증시 상황이 좋지 않아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한 자투리펀드 투자자의 입장에선 적지 않은 손해를 보고 있습니다.
대안이라곤 다른 펀드로 갈아타는 건데, 줄어든 투자원금으로 다시 펀드에 투자하는 것도 썩 내키지 않습니다.
업계 역시 불만이 높은 건 마찬가지.
금융당국의 신규펀드 제한 기준인 5%라는 비율의 산정 자체도 비합리적이란 지적입니다.
공모펀드의 수가 적은 운용사의 경우 자투리펀드가 1개만 존재해도 비중 5%를 넘기게 돼 신규펀드 출시가 제한되기 때문입니다. //
무엇보다 자투리펀드에 대한 과도한 패널티로 자산운용사 본연의 목적을 제한하는 것은 물론 펀드에 대한 투자자의 불신을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전화인터뷰> A 자산운용사 관계자
"단순히 기간에 맞춰 계속 진행하면 고객들의 경우 니가 팔아서 수익률도 안 좋은데 팔라고 그러냐 하면서 반발감이 심하고, 금융시장 투자에 불신이 생길 수 있다. 투자자한테 더 많은 신규상품을 내놓고, 다양한 상품에 분산투자를 유도하는 게 운용사의 목적이다. 패널티가 과한 면 있다."
금융당국의 자투리펀드 정리작업.
애꿎은 투자자들이 피해를 볼 수 있는 만큼,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운영의 묘가 필요해 보입니다.
한국경제TV 박승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