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상단 2줄> 차이나포비아, 한국경제 '내우외환' /
中 규제강화에 韓 배터리 '눈칫밥'
<앵커>
국내 배터리 회사들에 대해서도 중국 정부는 제동을 걸었습니다.
군소 업체들의 난립을 막기 위해 배터리 생산능력이 지금의 40배는 돼야 모범기준 인증을 해 주겠다는 건데요.
속내는 자국 배터리 산업을 키우기 위해 국내 배터리 기업들에 불이익을 준 거란 분석입니다.
유오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중국의 무역규제 태풍은 중국에 진출한 우리 배터리 업체들도 비켜가지 못했습니다.
<통CG>
중국 정부는 자국 내에서 최근 배터리 기업으로서 모범기준 인증을 받으려면 연간 생산능력이 80억 와트 이상 돼야 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통CG>
기존 기준보다 규모를 40배나 늘린 건데 이를 충족하는 기업은 중국 내 BYD(비야디) 단 한 곳에 불과합니다.
중국에 진출해 있는 우리 기업인 LG화학과 삼성SDI의 경우 당장 생산능력을 지금보다 서너 배 늘려야 할 상황입니다.
만약 기준치 미달로 모범인증을 받지 못할 경우 중국 정부의 보조금 지급 혜택에서 배제될 처지에 놓인 건데
그렇게 되면 중국 기업들에 가격 경쟁력이 밀리면서 매출이 최대 30%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터뷰] 김지산 / 키움증권 전자·IT 연구원
"중국 매출이 거의 발생 못할 수 있습니다. 지금도 모범기준 인증을 받지 못하고 있어 매출이 거의 없는데 인증을 못 받으면 중국 쪽 매출이 발생할 수가 없습니다."
앞서 LG화학과 삼성SDI는 올해 모범기준 인증을 신청했다 특별한 이유 없이 4차례나 탈락하기도 했습니다.
결국 중국 정부가 배터리 모범인증 기준 강화에 나선 건 자국 배터리산업을 키워 자동차 산업을 주도하기 위한 술책 아니냐는 지적입니다.
[인터뷰] 국내 배터리업체 관계자
"자국산업의 보호와 함께 특히나 기술 격차가 있는 외국(국내)기업에 대한 견제가 아니겠느냐..."
<CG> 중국 22만대 > 미국 11만대 + 유럽 10만5천대
올해 중국 내 전기차 판매량은 미국과 유럽에서 팔린 것보다 많은 22만 대.
배터리산업의 주도권을 쥐고 있는 국내 기업들이 이번 규제 강화로 배터리 시장을 자칫 중국에 빼앗길 경우 그 피해는 자동차 업계까지 미칠 거란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유오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