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들의 삶이 좀처럼 나아질 기미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소득과 지출이 모두 줄어드는 가운데 소득불평은 더욱 심화됐다.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2016년 3분기 가계동향'을 보면 올해 7∼9월 가구당(2인 이상) 월평균 소득은 444만5000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0.7% 증가했다.
가구당 소득 증가율은 작년 3분기(0.7%) 이후 5분기 연속으로 1%를 밑도는 것으로 올해 3분기는 물가를 고려한 실질 소득은 오히려 0.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질 소득은 작년 3분기 증가율 0%를 기록한 뒤 4분기 -0.2%, 올 1분기 -0.2%, 2분기 0.0%를 기록한 바 있다.
근로소득은 1.9%, 자영업자 등의 사업소득은 1.1% 증가했고 이전소득(생산활동을 하지 않아도 정부가 무상으로 주는 소득)도 0.4% 늘었다.
그러나 이자소득 등이 줄면서 재산소득은 31.9%나 줄어들었다.
소득 증가율이 감소에 소비심리도 얼어 붙었더.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57만9000원으로 0.7% 늘었는데 실질 소비지출은 0.1% 줄면서 3분기째 감소세가 이어졌다.
비소비지출은 83만8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5% 증가했다.
사회보험 가입자와 보험료가 늘면서 사회보험(3.9%)과 연금(5.5%) 지출이 증가했고 경상조세도 3.3% 늘었고 가구간이전지출(5.1%)과 이자비용(3.6%)은 줄었다.
가계소득에서 세금, 사회보장분담금 등을 빼고 실제로 쓸 수 있는 금액을 나타내는 처분가능소득(가처분소득)은 3분기 월평균 360만7천원으로 1년 전보다 0.7% 늘었다.
3분기 소비성향은 71.5%로 작년 같은기간과 동일한 수준을 보이며 3분기 기준으로는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소비지출을 비목별로 보면 가구는 가정용품 및 가사서비스에 월평균 12만3000원을 쓴 것으로 나타났다. 지출액은 1년 전보다 18.4% 늘어난 것으로, 12대 비목 중 가장 많이 증가했다.
폭염 등의 영향으로 에어컨 등 가전 및 가정용기기 지출이 48.6% 증가한 탓으로 풀이된다.
보험료 지출 증가세에 힘입어 기타 상품 및 서비스 지출(21만5000원)도 7.1% 늘었다.
가구의 지출은 교육(32만9천원)에서 1.3%, 오락·문화(16만원)에서 0.8% 증가했다.
반면 보건(17만원)은 가장 큰 폭인 3.8% 줄었다.
한편 올 3분기 빈부격차는 더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1분기(하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41만7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9% 감소했다.
1분위 소득이 줄어든 것은 경기 불황으로 일용직 수가 줄고 영세자영업 경기도 나빠지면서 근로·사업소득이 각각 12.4%와 12.5% 감소했기 때문이다.
지난해까지 증가세를 유지하던 임시일용직은 올해 1분기와 2분기 각각 7만8000명, 6만5000명 줄어드는 등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감소세를 보였던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 수는 올해 3분기 5만1000명 늘어나 영세자영업자의 경쟁도 심화하고 있다.
반면 소득 5분위(상위 20%) 가구 소득은 854만원5000원으로 2.4% 늘었다.
5분위의 사업소득은 6.4% 줄었지만 근로소득이 6.9% 증가하면서 상승세를 이끌었다.
이에 따라 소득이 가장 높은 5분위 소득을 가장 낮은 1분위 소득으로 나눈 소득 5분위 배율은 4.81을 기록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4.46)보다 올라갔다.
소득 5분위 배율은 올해 들어 3분기 연속 올라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소득 5분위 배율이 악화되고 있는 것은 기초 연금 상승 효과가 줄고 소득이 낮은 고령 인구 비중이 커지고 있는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소득 분위별로 살펴보면 1·2분위는 소득이 줄었고 3·4·5분기는 소득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출은 소득과 마찬가지로 1·2분위는 감소했고 3·4·5분위는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