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협회, 성과연봉제 도입 '잰걸음'‥금융노사 갈등 첨예

입력 2016-10-10 11:37


은행연합회와 여신금융협회 등 주요 금융권 협회가 성과연봉제 도입에 속도를 내면서 시중은행과 2금융권 등 민간 금융사에 미칠 영향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노사간 평행선을 긋고 있는 가운데 노사합의 중재를 내세운 정치권의 움직임도 포착되면서 또 다른 국면도 예상되고 있습니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영구 회장을 필두로 은행권에 성과연봉제 도입을 진행중인 은행연합회는 은행연합회에 성과연봉제 도입을 위한 컨설팅 용역을 의뢰해 놓은 상태입니다.

현재 은행연합회는 구성원들에게 성과급 10% 미만을 적용하고 있어 사실상 호봉제를 운영중인 가운데 컨설팅 용역을 근거로 성과급을 20~30%로 늘리고 직원간 기본급에도 차등을 두는 애용을 근간으로 하는 성과연봉제 가이드라인을 준비중입니다.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하영구 회장이 성과연봉제 도입에 적극적인 데 은행연합회와 시중은행의 성과연봉제를 금융공공기관 수준 정도를 감안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은행연합회가 금융공공기관 수준, 또는 그 이상의 성과연봉제 도입에 물꼬를 트면 시중은행들도 이를 신호탄으로 가이드라인 겪으로 삼아 세부 내용을 추진할 수 있다는 구상인 셈입니다.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연합회 외에 여신금융협회 역시 성과연본제 도입을 근간으로 하는 연봉제 개편안을 이른 시일내에 확정할 예정입니다.

여신금융협회 역시 은행연합회와 마찬가지로 총연봉 대비 성과급 비중이 10% 미만이어서 사실상 호봉제가 적용되고 있는 협회로 김덕수 신임 회장 취임이후 성과연봉제 도입 추진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습니다.

주요 금융협회 역시 정부와 금융당국이 전개중인 성과연봉제 도입에 발맞추기 위해 외부용역, 컨설팅, 자체 도입 준비 등을 검토·진행중이어서 민간 금융사로 성과연봉제를 확산하는 데 영향을 미치게 될 전망입니다.

현재 시중은행, 2금융권 등 대부분 민간 금융사들은 대부분 관리자급에 대해 성과급제를 도입·운영 중이며 은행연합회, 여신금융협회 등 협회 차원의 가이드라인이 발표되면 성과연봉제를 관리자급 이하까지 확대될 것으로 관측됩니다.

이와 관련해 금융노조 측은 성과연봉제 도입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상태로, 최근 총파업에 이어 추가 총파업을 예고하는 등 성과연봉제 도입과 관련해 노사간 충돌이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최근 정무위 국감 등에서 의원들의 질타가 이어졌던 노사 합의 없는 성과연봉제 강행과 관련해 금융당국은 성과연봉제 등의 기본 취지, 효과 등을 언급하며 차질없이 진행해 나갈 계획임을 재확인했습니다.

임 위원장은 정무위 국감에서 성과연봉제와 관련한 정치권의 중재가 있을 경우 받아들일 의향이 있느냐는 질의에 구체적인 답변을 피하며 성과연봉제의 시급한 도입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 바 있습니다.

시중은행 고위 관계자는 "이번 금융위 정무위 국감에서 노사간 협의를 전제로 정치권의 중재 가능성이 언급이 됐는 데 성과연봉제 도입을 둘러싼 불씨가 정치권으로 옮겨갈 개연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협회의 움직임, 정치권 동향 등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습니다.

이를 감안한 듯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10일 금융의 정례 기자간담회를 통해 금융노조의 총파업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어렵다며 성과연봉제 도입에 속도를 낼 것임을 시사했습니다.

임종룡 위원장은 “다음달 2차 파업을 예고한 금융노조가 국민들에게 정당성을 얻기 어렵다”며 “또 다른 잘못을 반복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임 위원장은 성과연봉제가 쉬운 해고를 위한 것이라는 금융노조의 지적에 대해서는 “성과에 부합하는 정당한 보상을 지급하기 위한 것으로 저성과자 해고와는 별개”라고 선을 그으며 “공정하고 투명한 평가체계를 구축하면 성과연봉제에 대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금융당국은 10월19일을 전후로 제5차 금융공공기관장 간담회를 통해 금융공공기고나 성과중심 문화 정착 상황을 점검하는 등 성과연봉제 도입을 예정대로 진행해 나갈 계획입니다.

정부와 금융당국이 성과연봉에 추진에 변화가 없을 것임을 강조한 가운데 금융권 개별 협회 차원의 성과연봉제 추진이 은행권 등 금융권 임단협, 성과연봉제 도입, 2차 총파업 등에 미칠 파장에 업권 안팎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금융노조는 지난 7일 사용자협의회에 산별중앙교섭을 열자고 요청한 상황으로 사용자협의회 측은 아직 이에 대한 명확한 답변을 내놓고 있지 않은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