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부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오는 2023년까지 미세먼지 배출량을 지금의 절반으로 줄이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미세먼지 정보의 정확도를 높이고 예보 기간도 1주일까지 늘려 '미세먼지 공포'를 덜겠다는 계획입니다.
임원식 기자입니다.
<기자>
올해 미국 대학 연구진이 발표한 환경성과지수에서 우리나라 공기의 질은 조사 대상국 180개 나라 가운데 173위로, 꼴찌 수준입니다.
이대로라면 오는 2060년, 천 명 가운데 한 명 이상은 대기오염 때문에 조기 사망할 거란 전망까지 나온 상태입니다.
미세먼지 문제를 더 이상 남의 얘기처럼 두고봐선 안된다는 얘기가 곳곳에서 나오는 이유입니다.
미래부와 환경부, 복지부 등이 모인 범부처 미세먼지 연구기획위원회가 문제 해결을 위해 1차로 내건 시한은 오는 2023년.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연간 168만 톤에 이르는 먼지 배출량을 80만 톤까지 절반으로 줄이겠다는 방침입니다.
또 지상 위주의 측정 범위도 대기권과 해양 등으로 확대해 미세먼지 농도의 정확도를 75%까지 높이는 한편 예보기간도 기존 2일에서 1주일로 늘리기로 했습니다.
특히 실외 이상으로 실내 미세먼지도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만큼 미세먼지 노출에 따른 위해 정보 수집에도 적극 나설 계획입니다.
[인터뷰] 권오장 / 단국대 의과대학 교수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가운데 장기간 거주했을 때 만성적으로 건강에 어떤 영향이 나타나는 지는 연구가 많이 부족합니다. 우리 국민들 대상으로 그런 부분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입니다."
그러나 미세먼지 해결을 위해 넘어야 할 산은 여전히 많습니다.
당장 목표 달성을 위한 기술 개발에만 급급한 나머지 미세먼지 주범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이웃 중국과의 공동 연구나 비행기, 선박들이 내뿜는 먼지 등에 대한 고려는 미흡했다는 지적입니다.
또 미세먼지 저감 기술을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키우겠다는 비전만 있을 뿐 원천기술 확보 등 경쟁력 확보를 위한 대책이 빠진 것도 아쉬운 부분입니다.
[인터뷰] 박찬정 / 코웨이 개발부문장
"일본이나 중국에 비해 (시장 수요가) 많지 않다 보니까 기반기술의 발전보다는 일단 사서 쓰는 기술, 평이한 기술, 싸게 만드는 기술에 만족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추가 보완 작업을 거친 기획위의 미세먼지 대책안이 마련되면 정부는 이를 국가전략 프로젝트에 반영해 '미세먼지 공포' 해소에 나설 계획입니다.
한국경제TV 임원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