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후핵연료 영구처분 부지 2028년까지 선정...기본계획 확정

입력 2016-07-25 16:46
수정 2016-07-25 17:12
2028년까지 사용후핵연료 영구처분 부지선정을 골자로 하는 국가 차원의 기본 관리계획이 마련됐습니다.

정부는 오늘(25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제6차 원자력진흥위원회를 열어 이런 내용이 담긴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관리 기본계획'과 '미래원자력시스템 기술개발 실증 추진 전략'을 각각 심의·확정했습니다.

정부는 기본계획에서 인허가용지하연구시설(URL), 중간저장시설, 영구처분시설을 같은 부지에 단계적으로 확보키로 했습니다.

다만 연구용 URL은 별도 부지에 건설하기로 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부지 선정(약 12년 소요), 부지 확보 후 중간저장시설 건설과 인허가용 URL 건설·실증연구(14년 소요), 영구처분시설 건설(약 10년 소요) 등의 절차로 진행한다는 것이 정부 로드맵입니다.

정부는 또 사용후핵연료의 독성과 부피를 줄이기 위해 파이로프로세싱 기술 개발을 비롯한 고속로 연소와 처분 기술개발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