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황창규 회장이 UN과 해외 통신사업자들에게 빅데이터를 토대로 감염병 확산 방지에 힘을 모을 것을 제안했습니다.
또 조류 인플루엔자와 구제역 확산 방지와 관련해 자사가 갖고 있는 빅데이터 알고리즘을 공개하고 유엔을 통해 개발도상국가에 이들 전염병 확산방지 시스템을 지원하겠다고 전했습니다.
KT는 황 회장이 현지 시각으로 23일 미국 뉴욕 메리어트 마르퀴스 호텔에서 열린 'UN 글로벌 콤팩트(UNGC) 리더스 서밋 2016'에서 '한계가 없는 세상을 열자'는 주제로 연설을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자리에서 황 회장은 빅데이터 솔루션을 활용해 조류 인플루엔자 확산을 막은 국내에서의 경험을 소개하며 이를 통해 연간 18억 달러의 손실을 막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조류 인플루엔자 뿐만 아니라 이같은 빅데이터 솔루션으로 사스나 메르스, 지카와 같은 감염병 확산 방지도 가능하다며 해외 통신사업자들에게 협력을 제안했습니다.
이를 위해서 황 회장은 우선 세계 800여 곳의 통신사들이 로밍 데이터를 공유하고 동시에 각 나라 정부는 통신사들이 이를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도록 허용하며 UN이 이를 총괄하는 '3단계 방법론'을 제시했습니다.
황 회장은 특히 해외 감염병의 국내 유입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현재 우리 정부와 '통신 빅데이터를 활용한 감염병 차단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며 공항 방역절차의 표준을 정하기 위해 UN 산하의 세계보건기구와의 협력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황 회장은 KT의 '기가 스토리'에 관해서도 소개했습니다.
KT가 우리나라 서해 최북단, 백령도에 구축한 '기가 스토리' 사례를 들며 저개발, 소외 지역의 정보격차를 줄이고 디지털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맞춤형 지원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동시에 국내 뿐만 아니라 방글라데시 정부와 국제이주기구와 손잡고 방글라데시 모헤시칼리 섬에도 '글로벌 기가 스토리'를 조성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무엇보다 이번 연설에서 황 회장은 "엔지니어로서 '기술혁신이 어떻게 사회를 바꾸고 경제적 발전을 가져올 것인가'에 대해 고민했다"고 밝혀 참석자들에게 공감을 얻었다고 KT 측은 전했습니다.
사물인터넷과 가상·증강현실, 인공지능과 로봇에 이르기까지 통신사업자들이 과거와 달리 정보통신기술 혁신을 기반으로 하는 융합 비즈니스로 '보다 나은 내일'을 만드는 데 앞장서야 한다는 게 황 회장의 생각입니다.
예컨대 기후변화 문제 해결을 위해서 천문학적 비용이 드는 신재생 에너지만을 떠올릴 게 아니라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에너지 효율 극대화에 초점을 맞추는 등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실제로 KT가 상용화에 성공한 복합에너지 솔루션 'KT-MEG(Micro Energy Grid)'를 국내 병원에 설치한 결과 에너지 비용이 72%나 줄었다며 국내 에너지 사이트의 10%만 적용해도 해마다 570억 달러의 비용을 아낄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황창규 회장은 "이번 UNGC에서 제안한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빅데이터 공동 과제'는 시작에 불과하다"며 "모든 사물이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시대에서 통신사업자는 막대한 빅데이터와 ICT 융합 솔루션을 바탕으로 인류가 편리하면서도 편안하고 안전하면서도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