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부가 국내 중소기업들의 해외건설 수주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한 대책들이 ‘전시행정’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실제 중소기업들이 이용하기에는 절차가 너무 까다롭고 내용도 적합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고영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올 상반기 국내 중소기업들의 해외건설 수주실적은 지난해보다 21% 줄어든 11억8천만 달러에 불과했습니다.
정부가 중소기업들의 해외건설 수주를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대책들을 내놨지만 효과가 없었던 겁니다.
해외건설 전문가가 중소기업을 직접 찾아가 수주단계별로 컨설팅해 주는 맞춤형 컨설팅 서비스와 수주단계별 위험성을 분석해주는 도구인 해외건설 리스크 통합관리 시스템(FIRMS) 등이 대표적인데, 기업들의 반응은 냉담하기만 합니다.
실제로 이 서비스를 이용한 중소기업들은 지금까지 20곳이 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터뷰> 중견 건설업체 관계자
“저희가 그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이것저것 생각하고 있는데 우리한테 딱 와 닿는 건 없다. 아직까지 다른 회사들도 마찬가지다. 우리가 아주 처음 들어가는 나라라면 모를까. 우리가 아주 처음 들어가는 나라는 그 정도 정보 갖고는 들어가 수 없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내놓은 대책이 중소기업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에는 역부족이라고 평가합니다.
정부가 제공하는 정보의 정확성과 구체성이 너무 떨어진다는 겁니다.
<인터뷰> 김민형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
“(리스크 통합관리 시스템이) 진출을 할 것인가 말 것인가를 결정하는데 결정적인 단서가 되지는 못하는 부분이 있다. (맞춤형 컨설팅은)해외사업이라는 것이 굉장히 장기간에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장기에 걸쳐서 모든 단계를 컨설팅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정부는 그러나 기업들이 원하는 수준의 정보를 제공하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입장입니다.
<인터뷰> 국토교통부 관계자
“해외건설협회에 등록돼 있는 건설사만 800개 가까이 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저희가 800개 회사를 붙잡고 하나씩 하나씩 할 수도 없고 할 여력도 당연히 안 된다.”
정부가 자랑하는 맞춤형 컨설팅 서비스나 해외건설 리스크관리 시스템 등은 결국 립 서비스에 불과하다는 의미입니다.
한국경제TV 고영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