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철강, 조선 등 전통적 수출 효자 산업들의 부진속에서 식품산업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한류 열풍과 맞물려서 국내 식품산업에 대한 수출경쟁력도 높은 상황인데, 여전히 보이지 않는 규제 장벽들이 식품기업의 수출을 가로 막고 있습니다. 정경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난 5월 서울 반포 한강공원.
중국 단체 포상관광객 4천여명이 '삼계탕파티'를 벌이는 진풍경이 연출됐습니다.
삼계탕은 중국에서 인기리에 방영된 우리 드라마에 등장하면서 중국 수출길에도 오르게 됐습니다.
이처럼 한류 열풍과 맞물려 우리 음식에 대한 관심은 수출 확대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바나나맛 유제품으로 중국에서 한해 150억원을 벌어들이는 빙그레.
독특한 용기모양과 가공우유에 대한 중국인의 호기심이 입소문을 타면서 중국 수출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홍기 빙그레 해외사업부장
"2013년도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다. 내년과 내 후년에도 수출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본다. 한류에 대한 영향이 컸다. 또 유통전략상 기존 식품업체들의 수출 판매채널이 고급백화점이나 한인마트, 고급수퍼마켓에 한정돼 있었는데, 과감하게 중국 주요 도시의 편의점 채널에 진입하면서 소비들이 쉽게 구매할 수 있는 동기를 만들었다."
철강, 조선 등 전통적 수출 효자 산업의 부진속에서 식품산업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실제, 지난해 기준 세계 식품산업 시장 규모는 5조6천억 달러로, 세계 자동차시장(1.8조달러)의 3.1배, 세계 IT시장(3.1조달러)의 1.8배에 이르고 있습니다.
이러한 어마어마한 시장규모는 우리 식품산업이 내수의 한계를 딛고 수출에 나서야 하는 당위성으로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여전히 보이지 않는 수출장벽입니다.
[인터뷰] 식품업계 관계자(음성변조)
"식품이다 보니 냉장·냉동 상태가 계속 유지돼야 한다. 수출시 통관시간을 최대한 줄여주는게 가장 시급하다. 지적재산권과 관련해서도 한국기업이 고생하는 부분인데 정부 지원의 한도가 정해져 있어 기업 부담이 클 수 밖에 없다. 할랄시장의 경우에도 인도네시아 등은 할랄 교차인증이 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유통기한이 생명인 식품산업의 특성상, 신속한 수출 통관을 위해 사전통관절차 제도를 비롯해 상대국과의 수출 검역과 위생조건에 대한 합의는 기업 차원에서 불가능한 것으로, 사실상 정부 차원의 적극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는 설명입니다.
특히, 급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무슬림을 소비자로 둔 할랄시장의 공략을 위해서는 할랄교차인증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할랄교차인증은 국가간 협약을 통해 상대국이 인정한 기관으로부터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현재 우리는 말레이시아의 경우에만 한국인증협회와 제휴를 통해 교차인증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을 뿐, 인도네시아 등 여타 국가에선 교차인증이 허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우리의 식품산업, 기업 자체의 경쟁력 확보 못지 않게 정부 차원의 적극적이고 과감한 지원 등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한국경제TV 정경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