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상장사 유동주식비율 58.1%…전년 대비 1.7%p↑

입력 2016-06-07 14:10


한국거래소는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상장법인 1,910개사를 대상으로 올해 유동주식수 현황을 조사한 결과, 국내 전체 상장법인의 올해 유동비율은 58.1%로, 지난해 56.4%와 비교해 1.7% 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은 각각 52.8%와 61.7%로 집계됐습니다.

유동주식수는 실제 거래가 가능한 주식수를 말하는 것으로, 발행주식수에서 보호예수주식과 최대주주 지분 등 유통이 제한된 비유동주식수를 제외한 것입니다.

미국과 유럽 등 선진시장의 유동비율은 90% 이상으로 높았지만, 한국과 일본은 60% 내외로 낮았습니다.

한국과 일본은 최대주주의 소유구조가 대규모 기업집단 중심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선진시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동비율이 낮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또 41.9%인 국내 비유동주식 중 최대주주와 특수관계인 보유분이 38.4%로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자사주도 2.9% 포함됐습니다.

특히 유가증권시장의 최대주주 비중은 42.6%로, 코스닥시장의 비중인 35.7% 보다 6.9%포인트 높았습니다.



업종별로는 의료정밀과 전기전자가 각각 66.8%와 62.4%로 높은 유동비율을 기록했습니다.

의료정밀 업종은 연구개발 비용 등 높은 초기 투자자본 조달을 위한 구주매출 등으로 인해, 최대주주 지분이 낮은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전기전자 업종은 스타트업 기업의 비중이 높은 코스닥 IT 기업이 큰 비중(73%)을 차지하는 만큼, 기업 특성상 최대주주 지분 비율이 낮은 편으로 드러났습니다.

반면 전기가스는 유동비율이 35.6%로 낮은 비율을 기록했습니다.

전기가스 업종은 정부와 공공기관 등이 최대지분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유동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거래소는 매년 유동주식수를 조사해 코스피 200과 코스닥 150 등 주요 지수 산출 시 종목별 가중치로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번 결과는 오는 10일부터 반영될 예정입니다.

파생상품과 상장지수펀드(ETF) 등의 기초지수로 활용되는 지수는 발행주식수가 아닌 유동주식수로 가중해 산출하며, 지수안정성 제고를 위해 5% 단위로 올림해 적용합니다.

유동비율을 적용하는 지수는 유동비율이 높은 종목일수록 상장시총 비중보다 지수반영 비중이 높아집니다.

이에 따라 유동비율이 높은 삼성전자와 현대차 등은 지수반영 비중이 높아지고, 한국전력과 아모레퍼시픽 등은 지수반영 비중이 낮아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