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난 2011년 저축은행 사태 이후 국내 저축은행의 전산은 대부분 통합해서 관리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일부 대형저축은행들이 여전히 개별 전산망을 운영하면서 전산조작과 금융사고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이근형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기자>
지난 2011년 저축은행 영업정지 사태 당시, 금융소비자들을 두 번 울린 것은 저축은행들의 전산조작이었습니다.
고객 1만명에게 소액대출이 나간 것처럼 전산을 조작해 1,200억원을 빼돌렸던 제일저축은행의 사례가 대표적입니다.
그런데 5년이 지난 지금도 일부 대형저축은행들에 대한 전산망 감시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국내 79개 저축은행 가운데 12곳이 여전히 통합전산망에 가입하지 않았습니다.
국내 대형 금융지주사와 전산망을 공유하고 있는 저축은행들을 제외하면, SBI와 HK, OSB, 웰컴, 푸른 같은 대형 저축은행들이 개별 전산망을 쓰고 있습니다.
대부업 계열과 일본지주사 계열, 그리고 사모펀드 계열의 저축은행들을 중심으로 과거와 같은 전산조작 위험에 그대로 노출돼 있는 셈입니다.
[인터뷰] A 저축은행 관계자
“정책적으로 전산을 변경하거나 개발해야 할 일이 있을 수 있잖아요. 중앙회 전산 사용하게 되면 아무래도 불편한 점이 있을 수 있겠죠.”
저축은행 사태 이후 금융감독원은 저축은행들을 통합전산망으로 유도하면서, 자체 전산시스템을 고수하는 저축은행에게는 매일 업무마감 후 주요 여수신 기록을 저축은행중앙회로도 함께 보내라고 지시했습니다.
하지만 개별전산망을 쓰는 저축은행 가운데 주요 전산원장을 중앙회와 공유하는 곳은 단 한 곳도 없었습니다.
[인터뷰]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
“(주요 전산원장을 보내게 돼 있다고 하는데?) 통합정보시스템 있죠 67개사 것 (나머지 저축은행들은 안 보내요?) 네, 각자 개별 전산 쓰고..”
[인터뷰] B 저축은행 관계자
“(중앙회에 주요 전산원장 보내는 게 있나요?) 전산원장이요? 처음 들어보는데..”
유지비 절감과 보안사고 책임 완화라는 통합관리 이점에도 불구하고 일부 저축은행들이 효율성을 이유로 개별 전산망을 고수하면서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의 교훈이 잊혀지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이근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