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1시간을 일하고 버는 돈은 독일의 절반 수준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3개국 가운데서는 22위로 나타났다.
OECD가 최근 '일자리의 질'에 관해 펴낸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구매력평가(PPP) 기준 시간당 평균 소득은 2013년 현재 14.6달러(22위)로 한국의 바로 위에는 슬로베니아(18.0달러)가 있다.
일본은 19.6달러로 20위였고 이탈리아(19위·20.3달러), 뉴질랜드(18위·20.3달러), 스페인(17위·20.4달러) 등도 한국보다 순위가 높았다.
한국 다음으로는 이스라엘(13.0달러)이 23위였으며 그리스(12.3달러)와 포르투갈(12.0달러) 등의 순이었다.
주요 경제국 가운데 독일(31.2달러)은 6위였고 프랑스(28.0달러)는 8위, 호주(26.7달러)는 10위였다.
미국(26.4달러)과 캐나다(26.2달러)는 각각 11위와 12위에, 영국(22.1달러)은 16위에 각각 올랐다.
톱 5는 유럽국가들이 휩쓸어 룩셈부르크(35.7달러)와 네덜란드(35.0달러)가 나란히 1위와 2위를 차지했고 스위스(33.5달러), 노르웨이(31.9달러), 덴마크(31.6달러) 순으로 뒤를 이었다.
반면 시간당 소득이 가장 적은 나라는 멕시코(5.2달러)였고 터키(8.5달러)가 그다음이었다.
칠레(9.2달러), 헝가리(9.5달러), 에스토니아(9.6달러) 등도 시간당 소득이 10달러 미만이었다.
한국의 순위가 중하위권인 것에 대해서는 노동시간이 긴데다 생산성은 낮기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OECD에 따르면 한국의 임금 근로자와 자영업자 등 전체 취업자의 1인 평균 노동시간이 2014년 기준 2,124시간으로 34개국 가운데 멕시코 다음으로 길다.
한국인은 노동시간이 가장 적은 독일(1,302시간)보다 1년에 4개월을 더 일하는 셈이다.
게다가 상사의 눈치를 보느라 정시에 퇴근하지 못하고 불필요하게 야근하는 직장 문화 등도 노동시간을 늘리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