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주력산업 수익·성장성 하락세…美·中·日에 뒤져

입력 2015-12-17 07:24
수정 2015-12-17 14:15


화학과 자동차 등 우리나라 주력 산업의 수익성과 성장성이 경쟁국인 미국, 중국, 일본에 뒤처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7일 한국경제연구원이 내놓은 '대한민국 주력산업의 글로벌경쟁력 비교' 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 금융위기 이후 우리나라 주력 산업에대한 미국·일본·중국 기업의 매출 증가율은 상승세로 돌아선 반면 우리나라는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해운업의 경우 한국의 매출증가율은 금융위기 이전인 2010년 40.08%에서 2014년 -16.53%로 크게 하락해 4개국 중 가장 낮았다.

특히 경쟁국인 일본과 중국의 해운업 매출증가율은 2011년을 기점으로 성장세로 돌아선 데 반해 우리나라는 2012년 이후 마이너스 성장을 이어가는 등 상반된 추이를 보였다.

전기·전자업의 경우 2010년 한국의 매출증가율은 25.55%로 4개국 중 가장 높았지만 2014년에는 4.1%를 기록해 미국 5.94%, 일본 6.68%, 중국 9.84%보다 낮았다.

2010년 중국(40.1%)에 이어 23.03%의 높은 매출증가율을 보였던 자동차도 2014년 -0.36%로 하락해 최하위를 기록했다.

화학업의 경우 2010년 한국의 매출증가율은 20.51%로 두 번째로 높았지만 2014년 -1.61%로 떨어져 4개국 중 가장 낮았다.

금융위기 이후 우리나라 주력 산업의 영업이익률 회복 속도도 경쟁국에 비해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철강업의 경우 한국의 영업이익률은 2010년 5.92%로 다른 경쟁국보다 높았지만 2014년 3.96%로 하락해 미국 6.55%, 일본 5.27%보다 뒤처졌다.

자동차업은 2010년 7.54%에서 2014년 3.77%로 감소해 미국 8.84%, 일본 5.91%보다 영업이익률이 낮았다.

신현한 연세대 교수는 우리나라 주력산업의 성장성과 수익성이 하락하고 있는 원인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매출원가율을 들었다.

특히 화학업에서 미국의 매출원가율은 약 30%대로 낮은 수준이지만 한국, 일본, 중국의 매출원가율은 60%를 넘어서는 등 효율성이 낮은 비용구조를 보였다.

또 한국은 자동차업에서 가장 높은 매출원가 구조를 가지고 있고 나머지 전기전자업, 해운업에서도 중국과 유사하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신 교수는 "매출원가 구조를 개선하지 않고서는 국내 기업이 글로벌 경쟁에서 계속 뒤처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