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위안화가 국제통화기금의(IMF)의 특별인출권(SDR) 지위를 획득하는 것으로 국제화를 위한 주요 관문을 통과한 가운데 우리나라 원화도 국제화에 시동을 걸고 있다.
원화 국제화는 해외 외환시장에서도 원화를 자유롭게 사고팔 수 있는 것을 뜻하는데, 지금까지 우리 정부는 이를 막고 있었다.
중소형·개방형인 한국 경제의 특성상 국제화의 이점보다는 위험 요소가 더 크다고 봤다.
원화가 환투기 세력의 공격 대상이 될 수 있기때문이다.
이런 원화가 내년에 국제화를 위한 첫발을 내디딘다.
양국 간 합의에 따라 내년 상반기 중국 상하이에서 원·위안화 직거래시장이 열리면 원화가 해외에서 직접 거래되는 첫 사례가 된다.
상하이 원·위안화 직거래시장 개설은 지난해 12월 1일 서울에 직거래시장이 열린 데 따른 후속 조치다.
위안화의 빠른 국제화 추세에 대응하기 위한 우리 정부의 포석으로 볼 수 있다.
정부는 이런 맥락에서 해외에서 비거주자가 자본거래 목적의 원화 거래를 제한하는 현행 외국환 거래 규정을 고칠 예정이다.
해외에서도 원화를 쉽게 거래할 수 있도록 한다는 얘기다.
원화 국제화로 중국을 비롯한 해외에서 원화 환전이 쉬워지면 원화 무역결제 비중을 높일 수 있다.
수출입 거래 때 결제 통화로 달러화나 거래 상대국 통화를 사용하면 기업들이 거래계약과 대금결제 시점 사이에서 발생하는 환율 변동 위험에 노출되기 쉽다.
원화 무역결제를 확대하면 환 위험을 피하는 동시에 환전 수수료도 줄어드는 효과가 생긴다.
자국 통화의 국제화가 이뤄지지 않은 한국은 무역 규모에 비해 원화의 수출입 결제 비중이 낮은 편이다.
기업들이 수출할 때에 미국 달러화로 대금을 받은 비중은 올해 3분기 86.1%였고 유로화가 5.1%, 일본 엔화는 2.7%였다.
원화 결제 비중은 2.5%에 불과했다.
정부는 점진적으로 원화 국제화를 추진하겠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원화의 통용성을 높이기 위한 국제화를 단계적으로 추진할 것"이라며 "상하이 원·위안 직거래시장의 거래 추이를 지켜본 이후 제한된 범위에서 다른 지역에서의 원화 직거래를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한꺼번에 원화 국제 거래의 빗장을 열지 않겠다는 뜻이다.
그러나 정부가 원화 국제화에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이승호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한국의 경제·교역 규모, 자본시장 개방도를 보면 원화가 국제 통화가 되기에 충분한 여건"이라며 "우리와 경제 규모가 비슷한 호주 통화는 국제 금융시장에서 자유롭게 통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외환시장의 한 관계자는 "1997년 외환위기 트라우마 때문에 전면적인 원화 국제화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제 어떻게 하면 부작용을 최소화할지 고민하면서 원화의 해외 거래를 늘려나가야 할 때"라고 말했다.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