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생활수급자 중 65세 이상 고령자 비중 30% 넘어

입력 2015-09-24 14:59


노후대비가 되지 않은 노인 인구가 급속히 늘어나면서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중 65세 이상 고령자 비중이 처음으로 30%를 넘어섰습니다.

한국 노인의 상대적 빈곤율(가처분 소득이 국민 전체 중위소득의 50% 이하인 비율)은 49.6%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5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가운데 고령자는 37만9천명으로 전체 수급자(123만7천명)의 30.6%를 차지했습니다.

고령자 비중은 지난 2009년 26.2%에서 매년 꾸준히 증가해 지난해 처음 30%를 넘었습니다.

이는 생산가능연령(15∼64세)을 넘어선 인구가 증가한 데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이기도 하지만 그만큼 고령층의 노후 대비가 제대도 되어있지 못하다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습니다.

공적연금을 받는 고령자 비율은 지난해 39.6%(253만1천명)에 불과했으며 국민연금을 받는 고령자는 89.8%, 공무원연금과 사학연금이 각각 8.8%, 1.4%였습니다.

평균 연금 수령액은 월 49만원이었으며, 남자가 67만원 여자가 31만원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2배 정도 많았습니다.

혼자 사는 고령자 비중은 현재 7.4%. 그러나 2035년에는 15.4%로 두 배 이상 증가할 전망입니다.

이런 가운데 노후 대비를 위해 일터로 나가는 고령층은 갈수록 늘어나고 있습니다.

60∼64세 고용률은 지난 2013년부터 20대 고용률을 추월해 지난해 60∼64세 고용률은 58.3%로 20대의 57.4%보다 높았습니다.

65세 이상 고령자의 고용률은 31.3%로 1년 전보다 0.4%포인트 증가했고 고령층(55세∼79세) 10명 중 6명은 앞으로도 일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근로를 원하는 이유로는 '생활비에 보탬이 되고 싶어서'가 57.0%로 가장 많았고 '일하는 즐거움이 있기 때문에'가 35.9%, '무료해서'는 3.6%였습니다.

올해 65세 이상 고령자는 662만4천명으로 전체 인구의 13.1%를 차지해 고령인구 비중 14% 이상되는 고령사회에 성큼 다가섰습니다.

고령 인구 비율은 2026년 전체 인구의 20%를 넘은 뒤 2060년에는 40.1%까지 증가할 전망이고 이로 인해 올해는 생산가능인구 5.6명이 고령자 1명을 부양했지만 5년 뒤에는 4.5명이, 2040년에는 1.7명이 부양해야 하는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