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 class="바탕글">
▲ <노규수 해피런(주) 대표> 3년 전 호스피스 전문의 김여환이 낸 <죽기 전에 더 늦기 전에>라는 책을 읽은 적이 있다.
<p class="바탕글">죽기 전에, 또한 더 늦기 전에 '죽음'에 대해 생각하고 준비하라는 내용의 책이다. 당시까지 좋은 삶을 사는 웰빙(well-being) 만을 중요하게 여겨온 필자에게 어렴풋이 '죽음에 대한 준비', 즉 웰 다잉(well-dying)을 생각하게 했던 것이다.
<p class="바탕글">'어떻게 사는 것' 만큼이나 '어떻게 죽는 것'도 중요하다는 의미다.
<p class="바탕글">필자는 주초에 사랑하는 형님 한 분을 떠나 보내드려야 했다. 사랑하는 사람이 떠나가게 되면 일순간의 슬픔과 심리적 충격으로 많은 사람들이 '삶과 죽음'의 본질에 대해 생각하게 되고, 또 인생무상(人生無常)을 경험한다고 한다.
<p class="바탕글">필자 역시 형님과 이승에서 다시는 만날 수 없다는 생각을 하니, 진한 허무(虛無)와 공허(空虛)감이 몰려왔다.
<p class="바탕글">서산대사는 생자일편부운기(生者 一片浮雲起)요, 사자일편부운멸(死者 一片浮雲 滅)이라는 법어를 남겼다고 한다. 삶은 한 조각 뜬구름이 일어나는 것이고, 죽음은 한 조각 뜬구름이 흩어지는 것과 같다는 가르침이다.
<p class="바탕글">그래서 인생은 '공수래(空手來) 공수거(空手去)'라고 한다. 누구든지 빈손으로 이 세상에 태어났다가, 빈손으로 저 세상으로 가는 것이다.
<p class="바탕글">대제국을 건설한 알렉산더 대왕도 자신이 죽으면 자신의 관 옆을 뚫어 양손을 밖으로 내보이게 하라는 유언을 남겼다는 것이다. 천하무적의 권력과 부를 손에 쥔 대제국의 황제도 갈 때는 결국 빈손으로 간다는 사실을 많은 백성들에게 보여주라는 의미였다고 한다.
<p class="바탕글">현대 의학에 있어 환자들이 '빈손'으로 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바로 웰 다잉(well-dying)이다.
<p class="바탕글">"창조주는 인간에게 삶은 허락했지만 죽음을 피할 능력은 주지 않았으므로 이 세상에서 생명을 받은 사람은 죽음의 관문을 넘어야 한다"는 말처럼, 그 관문을 자신의 의지대로 통과해야 한다는 것이 죽음에 대한 자세다.
<p class="바탕글">따라서 죽음을 앞두고 있는 환자들을 다루는 호스피스 의사들에게 특히 웰 다잉(well-dying)은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p class="바탕글">어느 말기 혈액암(백혈병) 환자가 있었다. 평소 건강했던 70대 중반의 그 환자는, 갑자기 쓰러져 병원에 입원한 자신이 말기 암환자이고, 곧 죽음에 이를 것이라는 사실을 전혀 몰랐다.
<p class="바탕글">단지 속이 불편해 병원에 왔을 뿐이고, 과거 앓았던 감기처럼 의사들의 치료로 곧 일어나 평소와 같이 사회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강한 의지를 보였다.
<p class="바탕글">가족들도 그 모습에 안도했다. 비록 죽을 때 죽더라도 살아있는 동안에 생(生)의 희망을 안고 살아가야 한다는 생각이었다. 그래서 의사에게도 신신당부했다. 절대 말기암환자라는 사실을 말하지 말라고 했다.
<p class="바탕글">하지만 어느 날 의사는 가족들의 부탁을 외면하고, "내일이면 일어날 것"이라고 믿는 말기 암환자에게 모든 사실을 말했다. "남아 있는 삶이 한 달도 되지 않는다"는 충격정인 의사의 진단결과를 환자 본인에게 직접 말하고 만 것이다. 환자 아들은 강하게 항의했다.
<p class="바탕글">"여보시오. 말씀드리지 말라고 얼마나 우리가 부탁했소. 아버지는 지금 크게 낙담하여 거의 실성상태요"
<p class="바탕글">의사는 환자 가족들에게 말했다.
<p class="바탕글">"병의 진실을 환자에게 말하는 것이 좋은지 아닌지는 우리 의사들이 늘 딜레마를 겪는 일입니다. 하지만 저는 당신의 아버님께 며칠 남지 않은 그 시간에 인생의 마무리를 잘 하시도록 말씀드리는 것이 좋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p class="바탕글">의사가 환자에게 죽음을 준비하도록 솔직히 말하지 않았을 때 남아 있는 가족들이 겪는 고통도 매우 크다는 것이 그 의사의 설명이었다.
<p class="바탕글">자녀들에 대한 유산 상속도 살아계실 때 명확히 해야지, 그렇지 않을 경우 아버지 장례도 치르기 전에 자식들이 재산다툼을 하는 집안도 많이 봤다는 것이었다.
<p class="바탕글">또 환자 자신이 비상금으로 비축한 현찰이나 예금, 또는 타인 명의로 해놓은 부동산도 죽음을 앞 둔 상태에서 정리해 정말 '빈손'으로 갈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이 의사의 사명이라는 설명이었다.
<p class="바탕글">또 아버지 개인의 감정들도 죽기 전에 풀고 가야 한다는 것이다. 평소 원한이 있던 사람도 불러 병상에서나마 마지막으로 화해하도록 도와드려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 정말 '빈손'으로 아버지를 보내드리는 것이라는 의사의 소신이었다.
<p class="바탕글">그래서 필자는 김여환이 <죽기 전에 더 늦기 전에>라는 책에서 말하는 웰 다잉(well-dying) 10계명 중에 "자신이 준비한 마지막 말을 오늘 하자"는 말에도 전적으로 공감한다.
<p class="바탕글">그는 "'사랑해, 고마워, 행복해'라는 말을 임종 순간에 말하면 떠나는 내가 멋지고 아름다운 사람일 것 같은가?"라고 직설적으로 묻고 있다. 그런 말을 "마지막에 하지 말고, 오늘 그리고 지금 하자"는 것이다.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겠다"는 윤동주 시인의 말이 새삼 떠오른다.
<p class="바탕글" style="margin-left: 60pt">글_노규수 : 1963년 서울 출생. 법학박사. 2001년 (사)불법다단계추방운동본부 설립 사무총장. 2002년 시민단체 서민고통신문고 대표. 2012년 소셜네트워킹 BM발명특허. 2012년 대한민국 신지식인 대상. 2012년 홍익인간. 해피런㈜ 대표이사. 2013년 포춘코리아 선정 '2013 한국경제를 움직이는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