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가격제한폭 확대시행을 앞두고 한국거래소와 증권업계가 막바지 준비작업에 돌입했습니다.
특히 증권사들의 경우 관련 제도와 시스템을 정비하느라 분주한 모습입니다.
신동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예정대로라면 다음달 15일 가격제한폭 확대가 시행됩니다.
관련 업계에서는 이에 맞춰 마지막 준비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전화인터뷰> 김기경 한국거래소 주식매매팀장
"빠른시일내에 시기를 확실히 공표할 예정이지만 (예정대로) 6월 중순에서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다"
상하한가 범위가 기존 15%에서 30%로 확대됨에 따라 시장에서는 기대와 우려의 목소리가 공존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증권사들의 리스크가 적지않습니다.
특히 하한가 범위가 30%로 확대되면 주식을 담보로 투자 자금을 빌려준 증권사들의 신용공여 위험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지금처럼 가격제한폭이 15% 일때는 이틀 연속 하한가를 기록해도 대출 원금을 회수하는데 문제가 없지만 30%로 확대되면 이틀 연속 하한가를 맞을 경우 대출금 회수에 어려움이 생깁니다.
이는 현행 140%인 담보유지비율을 지키지 못하는 수준으로 익일 반대매매에 나선다해도 융자액 전액은 갚지 못하게 됩니다.
때문에 증권사들은 종목별 최소의 보증금율과 담보유지비율을 기존보다 상향하고 미수채권 위험을 줄이기 위해 반대매매 기간을 줄이는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중입니다.
실제로 하나대투증권과 삼성증권의 경우 반대매매 기간을 축소하는 방법을 추진중이고 이베스트투자증권의 경우 담보유지비율을 현행보다 올릴 계획을 하고 있습니다.
다만 무작정 요건만을 강화하면 신용 서비스를 이용하는 투자자들이 더 유리한 조건을 제시하는 증권사로 이탈할 가능성이 커 서로 눈치작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증권사들은 또 새 가격제한폭 적용을 위한 시스템 정비에도 애를 쓰고 있습니다.
전산개발팀 등을 중심으로 가격제한폭 확대에 따른 화면별 설정값 을 변경하고 거래소 시스템과의 연동 등을 점검하고 있습니다.
지난 4일부터 거래소와 회원사간 시스템을 연계해 모의시장을 열었고 15일까지 1차 모의테스트를 마치면 18일부터 다음달 12일까지 2차테스트를 진행합니다.
시장에서 전문가들은 가격제한폭 확대로 증권사들이 관련 제도와 시스템 정비에 나서는 한편 개인투자자들은 변동성 확대에 대한 우려로 간접투자가 늘어날 전망이라며 증권사들의 자산관리업무 확대가 기대된다고 이야기했습니다.
한국경제TV 신동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