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생산성은 증가하는데.. 임금 인상은 거북이 걸음?

입력 2015-03-16 18:35


노동생산성은 12%.. 임금 인상은 고작 4%

일한만큼 정당한 임금 받지 못해

[한국경제TV 최경식 기자] 지난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이래로 한국 기업들의 노동생산성과 근로자들의 임금 인상 간에는 상당한 괴리가 존재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금융연구원 박종규 선임연구위원이 15일 노동생산성과 실질임금 상승률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근로자 1인당 노동 생산량이 2007년에 비해 12.2% 증가했지만 근로자들의 실질임금은 고작 4.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근로자들이 실제로 받는 임금이 자신들이 생산해내는 노동량의 3분의 1에 불과한 수준이다.

국제적인 기준을 들이대더라도 한국의 노동생산성과 실질임금 간의 격차는 상당히 큰 것이었다. 지난 2007-2012년 사이에 양자간의 격차는 무려 10.3%p 였는데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극심한 재정위기에 직면했던 유럽 국가들(그리스(12.3%p) 아일랜드(13.8%p) 스페인(11.7%p) 헝가리(11.7%p) 포르투갈(11.2%p))과 거의 대등한 수준이다.

노동생산성과 실질임금 간 괴리.. 원인은?

이렇듯 노동생산성과 실질임금 간의 격차가 벌어진 데에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기업들의 저축률 증가가 결정적인 원인으로 작용했다.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국가경쟁력 통계'를 보면 지난 2007년에 15% 정도(10위)였던 기업저축률이 금융위기가 발생한 해인 2008년에는 16.8%(7위)로 올라갔고 급기야 2013년에는 21.5%의 기업저축률을 기록해 OECD 국가 중 1위를 차지했다. 이는 2011년부터 3년 연속 기업저축률 1위를 기록한 것이며 같은 기간(2013년) 3.8%에 그쳤던 가계 저축률과 큰 대조를 보이는 수치다.

기업들이 저축에 몰입하는 이유는 글로벌 금융위기라는 폭풍이 지나간 후 언제 다시 발생할지 모르는 리스크에 대비해 돈을 묶혀두기 위함이다. 아울러 이명박 정권이 시행한 고용 유연화 정책도 이같은 현상에 한 몫 했다. 고용 유연화 정책이 이뤄지면서 자연스레 기업들의 인건비 부담은 감소했고 줄어든 인건비는 고스란히 기업들의 저축률 및 이윤 상승으로 이어진 것이다.

기업 저축률 상승.. 내수 침체로 부메랑 될라

그러나 기업들이 증가한 노동생산성만큼 임금 인상을 하지 않으면 우리나라 경제에 적잖은 악영향을 미칠 것이고 궁극적으로는 기업들에게도 부메랑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임금이 올라가지 않아 가계의 소비여력이 줄어들면서 내수침체와 더불어 기업들의 이윤도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현대경제연구소의 한 연구위원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래로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은 한층 고조되었다"고 전제한 뒤 "기업들은 만약의 사태를 대비하여 투자와 실질임금 인상은 뒷전으로 미룬채 저축만 지속적으로 늘리는 안정책을 취해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러한 방침은 종국적으로 내수침체에 따른 이윤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면서 "기업이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노동생산성에 비례하는 임금 인상을 단행해야 우리나라 경제의 선순환 구조가 정착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진= 한경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