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남성이 3대 연금인 국민연금, 퇴직연금, 사적연금에 모두 가입해 20년 동안 연금 보험료를 내도
실제 받는 연금액은 은퇴 전 소득의 38%에 불과할 수 있다는 충격적인 분석 결과가 나왔다.
국민연금연구원 신승희 전문연구원 등이 지난해 말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에 실은
'생존기간을 고려한 생애소득대체율의 추정' 논문을 보면 3대 연금에 모두 20년 동안 가입했다고 가정했을 때
남자의 생애소득대체율은 38.3%, 여자의 생애소득대체율은 41.1% 정도로 조사됐다.
연구자들은 기존의 소득 대체율이라는 개념이 생존 기간의 불확실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을 감안,
생애소득대체율 지표를 개발해 생존기간에 따라 소득대체율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분석했다.
생애소득대체율은 은퇴 전 소득 대비 은퇴 후 소득을 생존기간의 확률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해 평균을 낸 지표를 말한다.
국민연금과 퇴직연금의 보험료율은 현행 9%와 8.3%를 적용했고
개인연금 보험료율은 분석자료가 따로 없어 국민연금과 같은 9%로 가정했다.
대상자는 2014년 신규가입자며 수급연령은 60세로 잡았다.
그 결과 3대 연금에 20년 가입했다면 60세에 2014년 현재가치 기준으로 남성이 평균 108만원, 여성이 평균 67만원을 각각 받게 된다.
이처럼 연금액이 차이가 나는 이유는 남녀 간의 소득 차이가 있고 남자보다 여자가 오래 살기 때문이다.
수급액을 바탕으로 생애소득대체율을 분석하면 남성은 국민연금이 전체 생애소득대체율의 19.3%를 차지하고
퇴직연금 9.1%, 개인연금 9.9%(총 38.3%)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국민연금이 전체 생애소득대체율의 25.7%, 퇴직연금 7.4%, 개인연금 8.0%(총 41.1%)로 분석됐다.
각 연금에 40년 가입한다고 가정하면 생애소득대체율은 남성 77.4%, 여성 79.2%로 크게 오르기도 하나
현실적인 근로상황을 고려했을 때 40년간 3대 연금에 모두 가입하기는 거의 불가능한 상황이다.
논문을 작성한 신 연구원은 "그나마 개인연금 없이 20년간 국민연금, 퇴직연금의 가입만을 고려하면
남성과 여성의 생애소득대체율은 28.4%, 33.1% 수준까지 떨어진다"며 "은퇴 설계시 개인의 소득 수준, 가입 기간을 고려해
생애소득대체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결론적으로 젊을 때 노후를 대비,많이 연금 보험료를 내면 좋다는 뜻이나 현실성이 결여된다는 점에서
안타까운 조사 결과가 아닐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