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복지·증세 문제를 놓고 논란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복지 예산의 비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조사 대상국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함께 국민이 1년간 낸 세금에 국민연금·건강보험 등 사회보험료를 더한
총액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국민부담률)은 2013년에 30개국중 28위였다.
다시말해 우리나라는 복지 수준도 낮지만, 국민의 세금 부담 역시 적다는 뜻이다.
5일 OECD와 정부 부처 등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우리나라의 GDP 대비 사회복지지출(SOCX, social expenditure)의 비율은
10.4%로 OECD 28개 조사 대상국 가운데 최하위인 28위를 차지했다.
2013년에는 조사 대상 32개국 중 칠레에 앞선 31위를 차지했으나, 2014년에는 칠레 등 일부 국가가 대상에서 빠지면서 최하위를 기록한 것.
GDP대비 사회복지지출 비율은 2000년 4.8%에서 2010년 9%, 2013년 10.2%로 올라갔고 작년에는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한국의 사회복지지출 비율(10.4%)은 OECD 평균(21.6%)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고,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프랑스(31.9%)나 핀란드(31%)의 3분의 1에 불과했다.
또 슬로베니아(13위, 23.7%)와 헝가리(15위, 22.1%)에도 미치지 못했고 27위를 차지한 에스토니아(16.3%)와의 격차도 컸다.
복지 수준이 비교적 낮은 것으로 평가받는 미국은 22위(19.2%)였다.
2013년 기준 세금과 사회보험료 등이 GDP에서 차지하는 국민부담률 역시 24.3%로 조사대상 30개국 중 28위를 차지했다.
국민부담률은 2008년 24.6%에서 줄어들다가 2011년 24.0%, 2012년 24.8%로 늘었으나, 2013년에는 전년보다 0.5%p 다시 낮아졌다.
2012년에는 조사 대상 34개국 가운데 32위를 차지했으나, 2013년에는 4개국이 대상에서 빠지면서 칠레(20.2%)와 멕시코(19.7%)에 앞선 28위를 기록했다.
2013년도 한국의 국민부담률(24.3%)은 OECD 평균(34.1%)에는 10% 가까이 낮았고 가장 높은 덴마크(48.6%)의 절반 수준이다.
프랑스(45.0%)·벨기에(44.6%)·핀란드(44.0%) 등 8개 국가는 40%를 넘었고,
체코(34.1%)·포르투갈(33.4%)·에스토니아(31.8%) 등 14개국은 30%를 웃돌았다.
미국은 25.4%(27위)였다.
우리나라의 복지지출 예산 비율은 OECD 통계에 편입된 1990년, 국민부담률은 1972년 이후부터 줄곧 최하위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