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감경기 살린다던 정부 '공염불'

입력 2014-12-12 13:30
<앵커>

정부가 올해 서민 체감경기를 개선하겠다고 큰소리쳤지만 결과는 신통찮았습니다.

지표와 체감경기의 괴리 현상이 내년에 또다시 되풀이 되는건 아닌지 벌써부터 걱정입니다.

보도에 김택균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말 정부는 체감경기 개선을 올해 경제정책방향의 핵심 과제로 제시했습니다.

정부는 그 해법으로 청년과 여성 일자리 창출, 생활물가 안정을 꼽았습니다.

올 들어 11월까지 15~64세의 고용률은 65.9%로 이미 정부의 올해 목표치 65.2%를 넘어섰습니다.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1.3%에 그쳐 정부 예상치인 2.3%를 크게 밑돌고 있습니다.

이처럼 지표상으로는 정부 목표가 달성됐지만 서민들의 체감경기는 여전히 싸늘하기만 합니다.

전체 물가 상승률은 낮지만 정작 전셋값, 공공요금, 삼겹살값 같은 서민생활과 밀접한 품목은 크게 올랐기 때문입니다.

또 신규 일자리는 크게 늘었지만 임시직이 급증하는 등 질적으로는 오히려 악화됐습니다.

상용직의 3분기 실질임금도 1년 전보다 0.08% 늘어나는데 그쳐 2년 9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습니다.

<인터뷰>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

"경기가 좋아져서, 수요가 늘어나서 일자리가 늘어났다기 보다는 노동 공급이 늘어서 일자리가 늘어난 측면이 많기 때문에 숫자는 늘어도 임금은 별로 높지 않고 일자리 질 자체는 많이 좋아지지 않는 그런 상황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생활물가는 치솟고 임금은 오르지 않는 가운데 가계빚은 점점 늘면서 체감 경기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습니다.

가계가 1년간 번 돈으로 빚을 상환할 수 있는 여력을 보여주는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 9월말 현재 역대 최고인 137%까지 치솟았습니다.

열흘 뒤 내놓을 2015년 경제정책방향 준비 작업에 한창인 최경환 경제팀.

과연 현오석 경제팀의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한국경제TV 김택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