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원한 원화 국제화…통화정책 압박

입력 2014-11-14 14:41
<앵커>

최근 환율 변동성이 커지면서 우리 경제에 불안요이 커지고 있습니다.

외환 당국에서는 예의주시하겠다며 원론적인 답변만 하면서 뾰족한 대책은 내놓질 못하고 있는데요.

원화 국제화를 통해 통화정책 영향력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이주비 기자입니다.

<기자>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의 큰 리스크 중 하나인 널뛰기 환율.

수출 시 달러화와 엔화 등으로 결제하다보니 미세한 환율 변동에도 기업들은 민감해 질 수밖에 없는 실정입니다.

최근 환율이 급등락을 거듭하며 롤러코스터장세를 연출하는데도 외환당국에서는 마땅히 쓸만한 카드가 없었습니다.

유로존이나 일본처럼 무제한 돈을 풀 수도 없고 외환시장 개입도 사실상 제한적이기 때문입니다.

미국과 유로존, 가까이서는 일본의 경우 자국 통화가 널리 쓰이고 있다는 점을 이용해 통화 가치를 자국 이익에 유리하도록 조정하고 있습니다.

그 때마다 우리 경제가 휘청였는데 이 같은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원화 국제화가 거론됐습니다.

특히 인접 국가들과 화폐를 함께 쓰는 북유럽처럼 부분 국제화가 대안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인터뷰>박상철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교수

"국경을 맞대고 있는 지역에서는 화폐를 교환하지 않고 자국의 화폐로 바로 사용..가게라든지 슈퍼마켓에서 은행환율 기준으로 바로 사용..."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원화 국제화가 논의됐지만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주춤해진 상황입니다.

수출입 거래에서 원화로 결제되는 비중은 지난 1995년 0.2%에서 2010년 1.8%, 지난해 2.8%로 원화 사용은 여전히 미미합니다.

반면 중국의 경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위안화 국제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하면서 위안화 무역결제 비중은 꾸준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원·위안화 시장 개설을 계기로 인접 지역에서부터 원화 사용이 활발해지는 게 원화 국제화의 밑거름이라고 조언합니다.

<인터뷰> 박상철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교수

"인적 교류가 증가하다보면 경제 활동이 증가하기 시작합니다. 인적 교류가 증가하면 통화가 국제화되는 게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정부는 원화 국제화가 금융과 외환시장 변동성을 키워 외환위기로 파급될 우려가 있다며 시행에 소극적인 입장입니다.

한국경제TV 이주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