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낮춰 고교교육 정상화에 기여한다는 명분으로 재정 지원을 받은 대학들이
수시전형 지원자 10명 가운데 4명을 수능 성적 미달로 탈락시킨 것으로 드러난 가운데
서울대 경우도 수시 지원자의 약 14%가 수능 최저학력기준의 높은 문턱을 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유기홍 의원은 교육부에서 받은 '2014년 수시모집전형 수능 최저학력기준 미달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른바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49개교의 지원자 58만9,129명 중 10명중 4명꼴인 39.3%에 달하는 23만1,704명이
수능 최저학력기준 미달로 탈락했다고 6일 밝혔다.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없는 4개교와 자료를 내지 않은 12개교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됐다.
교육부는 지난해 6월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65개교를 선정해 재정지원을 한 바 있다.
당시 교육부는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낮고 사회적 취약계층을 위한 전형을 운영하는 대학에 높은 평가를 줬다고 밝혔으나
이런 설명이 무색하게 같은 해 해당 대학 수시에 지원한 수험생 상당수가 수능 성적을 충족하지 못해 떨어진 것이다.
특히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으로 20억원을 지원받은 서울대는 각 학교 최우수 학생들이 몰렸음에도
지원자 3,385명 중 477명(14.1%)이 수능 최저학력기준에 미달,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수능 최저학력기준 미달자 비율이 10% 미만인 곳은 조선대, 계명대, 서울교대, 부산교대, 숙명여대 등 5개교에 불과했다.
일부 대학은 2015학년도 입시에서 오히려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강화하는 등 역행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서울대는 수시 지역균형선발전형의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4개 영역 중 2개 영역 이상 2등급 이내'에서
4개 영역 중 3개 영역 이상 2등급 이내'로 바꿨고 진주교대는 아예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신설하기까지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