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로에 선 '사용후핵연료'

입력 2014-08-26 10:59
<앵커>

앞으로 10년뒤 우리 원자력발전소내 임시저장중인 사용후핵연료가 포화상태에 이릅니다.

땅 속 깊이 영구처분하는 게 최적의 방안이지만 세계적으로 공론화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권영훈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미국 워싱턴DC에서 차로 2시간 거리에 위치한 노스아나 원전입니다.

1978년 발전을 시작한 이 원전은 아나 호숫물을 냉각수로 쓰고 있습니다.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인 사용후핵연료는 7년간 습식저장한 뒤 건식저장시설로 이동합니다.

현재 건식저장 용기 27개가 있는데 대규모 지진에도 끄떡 없다고 설명합니다.

<인터뷰> Page A. Kemp / 노스아나원전 인허가 총책임자

"진도 6 규모를 견딜 수 있도록 설계돼 있습니다. 3년전 진도 5.8 규모의 지진이 있었으나 25기의 캐니스터가 움직였지만 아무런 피해를 입지 않았습니다"

미국 사용후핵연료는 10개 중 7개가 습식에서, 나머지는 건식에서 저장하는 임시저장 방식입니다.

중앙집중식 중간저장시설을 2021년부터, 땅 속 지층처분장은 2048년부터 운영할 계획입니다.

미국은 영구처분시설인 네바다주 '유카마운틴' 계획이 무산되면서 뉴멕시코주 'WIPP'에서 중준위폐기물만 관리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도 영구처분시설 부지를 선정한 곳은 핀란드와 스웨덴 두 나라뿐입니다.

미국 샌디아 국립연구소는 영구처분을 최종 목표로 다양한 지질과 공학적 실험을 펼치고 있습니다.

<인터뷰> Ken B. Sorenson / 샌디아국립연구소 사용후핵연료 총책임자

"원자력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국가들은 사용후핵연료를 저장하게 됩니다. 이렇게 저장된 사용후핵연료는 각국의 특성에 따라서 관리하게 됩니다. 그러나 최종적으로는 심지층에 처분되어야 합니다"

우리나라 역시 상황은 마찬가지입니다. 경주 방폐장은 중저준위 폐기물만 관리하고 영구처분 시설은 없습니다.

문제는 국내 원전의 경우 저장 조밀화 등 포화시기를 늦춘다고 해도 2024년부터 다시 포화상태에 이릅니다.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는 국민의견을 수렴한 뒤 연말까지 관리방안을 정부에 권고한다는 계획입니다.

사회적 공감대가 선결 과제이지만 R&D 투자가 미흡하고 관련 규제가 없다는 점도 걸림돌로 꼽히고 있습니다.

<기자 클로징>

세계는 지금 사용후핵연료 처리문제를 놓고 가장 안전하고 합리적인 기술 개발을 위해 몰두하고 있습니다.

다음 세대에게 꿈을 줄 것이냐 아니면 짐을 지울 것이냐의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미국 앨버커키에서 한국경제TV 권영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