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만 서식하는 백양더부살이, 멸종위기 속에 통영에서 발견?

입력 2014-08-22 06:20


세계에서 유일하게 우리나라에만 서식하는 멸종위기종(2급) 식물인 ‘백양더부살이’가 한려해상국립공원 통영지구 섬에서 발견됐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21일 한려해상국립공원에 대한 자연자원 조사 중 통영에 있는 섬에서 백양더부살이의 서식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백양더부살이는 1928년 일본의 나카이 박사가 전남 장성 백양사 인근에서 1개체를 발견한 뒤 70여 년간 발견되지 않아 멸종된 것으로 인식됐다.

그러나 2000년 내장산국립공원에서 서식이 확인된 후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됐고 이후 제주도와 신안 섬 지역에서 군락이 확인됐다.

백양더부살이는 스스로 광합성을 하지 못하고 수염뿌리가 쑥 뿌리에 기생해 영양분을 얻는다고 해서 ‘더부살이’로 불린다. 첫 발견지에 따라 '백양'이란 지명을 더해 백양더부살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국내에서 생태 연구가 거의 이뤄지지 않은 데다 쑥에 기생하는 습성 때문에 증식도 까다롭다. 공단은 탐방로 구간 변경 등의 보호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