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부가 재정정책을 동원해 대규모 경기부양에 나서면서 한국은행도 통화정책을 통해 동참할 것으로 보입니다.
14개월째 제자리에 묶여있는 기준금리는 이르면 다음달 인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준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정부가 40조원에 달하는 재정을 통원해 경기 부양에 나서면서 한국은행의 행보도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최경환 경제부총리와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우리 경제의 하방 위험이 커졌다는 데 인식을 같이 하고 정책 공조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의 조화를 이루겠다"며 한 목소리를 낸 만큼 이제 공은 한국은행으로 넘어가게 됐습니다.
문제는 과연 현재의 경제 상황이 기준금리를 내릴 만큼 악화됐는 지, 또 금리 인하에 따른 부작용을 감내할 수 있는 지에 달렸습니다.
우선 경제 상황을 보면 세월호 사태 이후 내수 둔화가 생각보다 심각한 점은 금리 인하에 힘을 실어주고 있습니다.
실제 올해 2분기 GDP는 0.6% 성장하는 데 그치며 7개 분기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세월호 참사 이후 민간소비 증가율이 마이너스로 돌아선 영향이 가장 컸습니다.
한은 금통위가 기준금리 결정을 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지표가 예상보다 부진한 결과를 나타낸 겁니다.
최근 기준금리를 놓고 이견 차를 보였던 두 경제 수장이 갈등의 골을 다소 해소하면서 금리 인하에 대한 명분도 어느 정도 마련됐습니다.
<인터뷰> 최경환 경제부총리
"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의 고유 결정 사항 이다."
<인터뷰>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경제를 보는 시각이 최 부총리과 큰 차이가 없었다."
채권시장에서는 모든 금리가 연중 최저치를 경신하는 등 다음달 기준금리 인하를 기정 사실로 인식하는 모습입니다.
골드만삭스와 노무라 등 해외 투자은행들도 기준금리 전망을 '연내 동결'에서 '3분기 인하'로 바꾸는 등 금리 인하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확장적 재정 집행과 한국은행의 기준 금리 인하가 동시에 이뤄져야 경기 부양책의 효과도 극대화 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한국은행은 경기회복 지원을 위해 금융중개지원대출의 한도를 3조원 늘리고 세월호 여파로 어려움을 겪은 경기부진업종에 1조원을 전용해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한은이 대출정책을 통해 경기 부양에 대한 지원 사격에 나선 만큼 이제 마지막 남은 통화 정책은 어떻게 결정질 지 관심이 모아집니다.
한국경제TV 이준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