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의 전산 백업센터 구축 의무화 지침에 금융사들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금융위원회는 최근 전산 백업전용센터를 구축과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 도입 등의 내용을 담은 행정 지침을 각 금융사에 전달했습니다.지난 4월 삼성SDS 전산센터 화재로 삼성카드 서비스가 일주일 동안 서비스 장애를 겪는 등 복구 시간이 길어진 데 따른 조치입니다.
지침에 따르면 금융사들은 주 전산시스템에서 발생한 위험의 영향을 받지 않는 곳에 재해복구센터를 설치해야 하며 재해센터에서도 위험에 대처할 수 없을 때에는 제3의 백업센터를 구축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금융사들은 제3의 백업전용센터를 공동으로 구축해 운영하는 방안을 내놓고 현재 협의 중입니다.
은행권에서는 한국은행을 포함한 14개 은행들이 함께 추진 중이며 여기에 비씨카드와 대우증권, 교보생명, 보험개발원, 금융결제원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현재 대부분 은행의 전산 백업센터가 수도권에 있기 때문에 공동 백업전용센터는 수도권에서 떨어진 지방에 두는 것으로 의견이 모아진 상황입니다.
한 시중은행 고위관계자는 “대부분의 백업센터가 수도권에 있기 때문에 제3의 전산센터는 지방에 둬야 의미가 있을 것”이라며 “장소를 물색하기 위해 최근 TF팀이 지방에 실사를 갔다온 것으로 안다”고 말했습니다.
이 밖에 전체 전산시스템 중 어느 범위까지 전산백업센터에 놓을 것인지, 각 금융사마다 비용을 어떻게 각출할 것인지 등도 협의 중에 있습니다. 특히 자연재해 등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하 벙커에 만드는 방안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금융당국의 제3의 백업전용센터 구축 주문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많은 금융사의 전산시스템을 한 곳에 모아두면 그만큼 위험 부담이 더 커질 것이라는 우려 때문입니다.
비용 문제 역시 무시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전산 백업전용센터를 짓는 비용은 주 전산시스템 구축하는 데 드는 비용과 거의 비슷한 수준. 보통 기계 설비비용만 500억~800억 수준인데 이미 전산백업센터를 모두 갖춰 놓은 은행들로서는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밖에 없습니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이미 전산 백업센터를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은행들로선 이중 부담을 져야하는 것”이라며 “비용이 만만치 않아 몇몇 은행은 소극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금융위원회는 이에 대해 단호한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금융위 관계자는 “현재 첨단 백업센터를 구비하기 힘들거나 개선의 여지가 많은 기관들이 많은 것으로 안다”며 “공동 투자로 좋은 설비의 공동 백업전용센터를 구축해 금융사고에 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또 미국 9.11 테러 당시 거의 모든 금융기관의 전산시스템이 한동안 마비됐던데 반해 모건스탠리는 전산 백업시스템을 잘 구축해놓은 덕에 하루 만에 모두 복구가 가능했던 사례를 들며 “투자 대비 효과는 굉장히 클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최근 순익 감소로 대부분의 금융사가 긴축경영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 같은 금융위의 주문은 또다른 걱정거리를 안겨줬습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비용문제 등 구체적인 사안이 논의되면 공동 백업전용센터 협의에서 빠지는 금융사도 있을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전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