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앞서 보신 것처럼 KB금융은 이번 LIG 인수전에서도 들러리를 서는 데 그쳤습니다. 각종 금융사고와 내홍 탓으로 돌려 보지만 근본적으로 임영록 회장과 이사회 등 KB금융 자체가 M&A 감각 부족, 전략 부재에 기인한 것이라는 지적입니다. 이어서 김정필 기자입니다.
<기자>
KB는 이번 LIG 인수전에서도 M&A 잔혹사의 질긴 악연을 끊지 못했습니다.
이전에 ING생명, 우투패키지 등 KB가 취약한 보험과 증권 등 비은행부문 강화와 연관된 M&A에서는 늘상 허무하게 물러났던 이력만 추가했을 뿐입니다.
어윤대 전 회장도, 임영록 현 회장도 취임 때나 재임중 M&A를 통한 비은행부문 강화, 성장동력 확충을 내세웠지만 헛물만 켰습니다.
<인터뷰> 임영록 KB금융지주 회장
“KB는 비은행 부문 다각화 통한 수익다변화, 사업다각화, 주주가치, 시너지 창출, 기본방향에 따라 KB금융에 절실한 M&A 대상이 무엇인지 검토하고 있다”
이번 LIG를 포함해 쓴 잔만 들이킨 KB를 바라보는 안팎의 시선은 냉정하기만 합니다.
늘 제동만 거는 이사회, 외부의 입김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CEO, 이를 눈치보는 실무진 등 KB 자체가 M&A와 관련한 DNA 함량 미달이라는 것입니다.
<인터뷰> 금융권 고위 관계자
“아무것도 아닌 금액 일 수 있다. 거기에 너무 집착한다. 실무진들도 이사회나 경영진에서 가격에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니 보수적인 평가 불가피하고 M&A 실패 현상 반복되는 것”
취임 때부터 비은행부문 강화를 강조했던 임영록 회장의 M&A 성적은 초라할 따름입니다.
취임 1년이 다 됐건만 M&A 중 성사시킨 것은 전무하고 고작 당국이 구조조정 차원에서 지주에 떠 넘긴 저축은행과 업황악화로 인기없는 매물인 캐피탈 인수가 고작입니다.
KB캐피탈의 경우는 레버리지 규제에 걸려 신규 영업에 까지 차질을 빚고 있는 상황입니다.
문제는 이 뿐 만이 아닙니다. 향후 M&A도 그다지 기대를 걸 기 힘들다는 점입니다.
금융사고로 점철된 데다 최근에는 내홍까지, 여기에다 전현직 경영진에 대한 징계를 피할 길 없는 KB를 매물기업의 이사회나 노조가 인수적격자로 받아들일 리 만무한 까닭입니다.
임영록 회장 재임 중 추진될 신사업이나 M&A 차질이 불가피한 가운데 KB금융 측은 “업황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무리수를 두지 않는 것”이라는 틀에 박힌 답변 뿐입니다.
금융권에서는 지주사중 은행비중이 제일 높은 KB가 가장 시급한 상황임에도 과감한 배팅을 하지 못하는 구조적 한계에 일침을 가합니다.
LG카드 인수시 경쟁사와 가격차가 주당 10원이었던 신한의 사례를 들며 KB의 전략 부재, 보수적이고 눈 앞의 가격에만 집착한다면 미래의 가치를 얻는 것은 요원할 뿐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인터뷰> 금융권 고위 관계자
“소위 말하는 지르는 전략도 필요한데 KB 기업문화가 이사회·경영진 갈등 전례 있다 보니 임직원 모두 보수적으로 생각 (M&A) 되레 안하는 게 낫지 않나 그런 생각에 젖어 있는 것 같다”
2800만 고객, 여수신 부문의 강자였던 KB가 회장과 이사회의 의지 결여, 전략부재, 사고의 연속 등으로 M&A 시장의 들러리로 전락한 지 오래입니다.
단순한 M&A 징크스에 그치는 것이 아닌 성장 정체의 기나긴 후유증에 빠져드는 것 아니냐는 우려는 KB의 현주소를 여실히 말해주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정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