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해외건설 사업 내실화를 위해 정부는 공종과 지역 다변화를 꾸준히 추진해 왔습니다.
하지만 올 1분기 전체 수주물량 중 80%가 중동이고, 플랜트 건설이 90%가 넘는 등 쏠림현상은 여전했습니다.
신용훈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2010년 3월 정부는 ‘해외건설 진흥계획’을 수립하고 줄곧 해외건설 시장과 공종 다변화 정책을 취해왔습니다.
현 정부 들어서는 정홍원 국무총리가 직접 해외건설 세일즈 외교에 나서고, 탈 중동화를 선언했지만. 여전히 중동지역과 플랜트 공종 쏠림현상은 지속되고 있습니다.
해외시장 다각화를 통해 우리기업의 수주기회를 넓힌다는 정책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고 있는 겁니다.
실제로 지난 2010년대 들어 전체 해외수주 물량 가운데 중동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55%로 절반이 넘습니다.
올 1분기에는 전체 수주액의 79%로 치솟으면서 최근 5년 평균을 훌쩍 넘기기도 했습니다.
지난 2010년 79%였던 플랜트 수주 비중은 지난해 60%까지 떨어졌다. 다시 올 1분기 92%로 치솟았습니다.
선진국들이 초고층 빌딩이나 초장대교 등 신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을 지속하는 동안 우리나라는 플랜트 분야에만 머물러 있는 겁니다.
<인터뷰>건설업계 관계자
“아직까지 어쩔 수 없는 것이 우리가 중동지역 특히 플랜트 공종에 있어서만 경쟁력이 워낙 높기 때문에 계속해서 그쪽에서 수주를 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정부는 이제서야 R&D 지원을 위한 검토에 들어간다는 계획입니다.
<인터뷰>안시권 국토부 건설정책국장
“올해는 예비검토를 하고 미래부에 신청하면 미래부에서 심사를 해서 해외건설 R&D 중장기과제로 채택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매년 큰 변화 없이 되풀이되는 해외건설 정책.
정부의 정책방향과 건설현장과의 괴리감이 커지면서 탁상행정을 벗어나지 못한다는 비판도 일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신용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