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가 26일 민·관 합동 'IPv6 확산 로드맵'을 발표했습니다.
IPv6 주소는 기존 인터넷주소인 IPv4 고갈대응을 위해 국제인터넷표준화기구(IETF)에서 만든 주소로 거의 무제한 할당이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실제로 기존 IPv4 주소는 43억개에 불과해 전세계 70억 인구의 수용이 불가하고 2020년 500억대의 디바이스가 인터넷에 연결될 것으로 전망돼 IPv6로의 전환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미래부는 LTE서비스의 지속적 확대와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등 인터넷 신사업으로 인한 IP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실질적인 IPv6 서비스로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해 로드맵을 발표하게 됐습니다.
이를 위해 미래부는 지난해 통신, 초고속인터넷(ISP), 컨텐츠(CSP) 부문 369개 사업자를 대상으로 IPv6 전환현황과 계획, 전환비용과 애로사항, 단말지원 현황을 조사하고 사업자간 협의를 거쳐 분야별 목표치와 일정을 설정한바 있습니다.
로드맵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에 SKT가 IPv6 기반 이동통신(LTE), SKB가 초고속인터넷, 다음이 웹사이트 상용서비스를 개시하고, 주요 ISP(KT, SKT, SKB, LGU+)의 백본망은 올해까지, 가입자망은 오는 2017년까지 구축할 예정이며, 제조사(삼성, LG, 팬택)의 IPv6 지원 스마트폰은 '14년 하반기 상용서비스 시점에 맞춰 출시될 예정입니다.
미래부는 IPv6 도입 기업의 부담 완화를 위해, 기재부와 협의해 조세특례제한법 시행규칙을 개정, ‘14.3.14일부터 신규 투자되는 IPv6 장비에 대해 소득세 또는 법인세 감면이 적용되도록 했으며, IPv6 연동망의 국제 전용회선을 신설해 무료로 제공할 예정입니다.
이진규 미래부 인터넷정책관은 “금년 하반기 IPv6 상용서비스가 개시되면 하위권에 머물고 있는 국내 IPv6 이용률이 조만간 미국, 일본 등 선진국 수준으로 상향될 것으로 본다”며, “이번 로드맵을 계기로 IPv6 전환이 앞당겨지고 인터넷·통신 장비와 사물인터넷 등 인터넷 신산업이 활성화되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