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마켓 나우]글로벌 증시 급락 요지부동 월가

입력 2014-03-13 13:28
수정 2014-03-13 14:06
출발 증시 특급 1부 글로벌 마켓 나우

출연 : 김희욱 한국경제TV전문위원

FOX 뉴스

(美 개장 전) 중국발 '도미노', 상품시장-유럽-월가로

CNBC

(美 오전 장)크림반도 주민투표 우려, 글로벌 증시 급락

CNN머니

글로벌 증시 '냉랭', 월가는 감기 걸리지 않아

로이터

월가, 우크라이나-중국 협공에도 '요지부동'

개장 초 뉴욕 폭발사고, 마감 브리핑 언급 없어

G7 '러시아, 우크라이나 개입 말라' 제재 경고

중국 경착륙 우려-구리가격 하락 출발 후 반등 마감

BI

구리가격 폭락, 중국 경제 경착륙 탓 아닌 듯

중국 구리 수입, 60~80% 신용거래

구리 수요 급감, '시스템적' 요인(펀더멘탈 X)

캐롤린 배-캐피탈 이코노믹스의 애널리스트-

- 중국 상품시장 내 트레이딩 관점 둔화 뚜렷

※상품 트레이딩 수요 : 보유 아닌 거래 목적

- LME 구리선물, 중국 내 구리가격과 연동

→최근 위안화 약세, 신용거래 급감 '이중고'

- 하지만, 여전히 중국 구리 수요 견조 (올 1~2월 중국 구리 수입량 +41%, 年)

- 중국 정부 '스마트 그리드(발전-송전시설)' 투자를 올해 13% 늘릴 것 발표

→구리가격, 단기 추가 하락 가능 불구, 중기 긍정적

키예프 포스트

크림 주민투표 용지 공개, 보기는 2개 뿐(Yes or Yes)

->보기 중 고르시오) 러시아 '즉시' 귀속 / 추후 귀속

Zero Hedge

美 합참의장, 우크라이나 군사력 대응 준비 끝

NBC 뉴스

오바마 지지율 41%, 집권 이후 사상최저 수준

-우크라이나 사태 개입 어려워 보임

WSJ

연준 Taper 개시 후, 해외 은행권 아시아 대출 늘려

킴 포레스트 -포트 피트 캐피탈 그룹의 수석 애널리스트 -

- 우크라이나 사태, 중국 경제 우려 등 '잠재적' 리스크→상품가격 하락 반응

- 올해 금융시장 지난 해와 비슷할 것

근거) 여전히 증시 유입 대기자금 충분하기 때문

마크 챈들러 -브라운 브라더스 해리먼의 글로벌 투자전략 센터장-

- 글로벌 위험자산 '롤오버' 시작-> 조정 돌입 가능

- 전조증상) 유로, 이머징 통화에 대한 달러 강세, 달러 대비 엔화 강세

연준 부총재 내정자 스탠리 피셔 의회 증언(원고)

실업률 6.7% 불만족, 인플레 목표치(2%) 근접도 못해

現 Taper, '점진적, 조심스럽게' 진행

그럼에도 통화완화 기조 '지속성' 필수적

완전 고용, 물가 안정 동시 달성+금융시장 안정 추구

마켓워치

연준 부총재 피셔, 비둘기파 확인 끝!

MSCI 한국지수 -0.63%, 59.77

[자세한 내용은 동여상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