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농협과 신협 등 주요 상호금융조합들이 각종 금융사고를 일으키거나 대포통장의 온상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감독당국은 이들 회사가 서민금융 본연의 기능을 소홀히 하고 내부통제가 취약하다며 경고하고 나섰습니다.
이준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해 금융권에서 발생한 금융사고 규모는 780억원.
이 가운데 상호금융조합이 낸 사고가 무려 41%에 달했는 데, 대부분 임직원의 횡령이 차지했습니다.
금융 사기범들이 악용하는 이른바 '대포 통장'도 주로 상호금융사에서 만들어집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2년여간 피싱사기에 이용된 대포통장 3만6천건 가운데 45%가 농협을 통해 발급됐습니다.
특히 농협은 최근 4년간 전산사고를 무려 11건을 내며 240억원이 넘는 손실액을 기록하는 등 각종 금융사고의 온상으로 지목받고 있습니다.
현재 농협을 비롯한 상호금융조합의 자산규모는 357조원에 달하며 금융권 전체의 1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전산사고와 임직원 횡령사고 등이 끊임없이 발생해 덩치값을 못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실정입니다.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은 상호금융조합 경영진을 만난 자리에서 "조합원의 주인의식이 약해졌다"며 "서민금융 본연의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고 경고했습니다.
<인터뷰> 최수현 금융감독원장
"상호금융조합은 지역밀착기관이다. 권역이 넓혀지는 것이 원래 상호금융의 취지와 맞는 지 생각해봐야 한다."
특히 최 원장은 대포통장의 천국으로 꼽히는 농협을 겨냥해 "취약한 내부통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소액출자의 특성상 상대적으로 경영감시가 어려운 상호금융사들에 대한 자구책도 요구했습니다.
최수현 원장은 "상호금융조합 이사회의 독립성과 기능을 강화하고 담당 임원의 전문성을 확충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감독당국은 수익성과 건전성에 모두 빨간불이 켜진 상호금융사들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 필요할 경우 대책을 마련할 방침입니다.
한국경제TV 이준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