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E·시리아·美 연방부채··9월 엄청난 변동성 직면"

입력 2013-08-28 09:43
출발 증시특급 1부 - 머니인사이트

대한금융경제연구소 정명수> 9월 위기까지는 아니더라도 상당히 큰 변동성에 직면해 있는 것은 사실이다. 현안으로 떠오르는 것이 시리아 문제인데 미국, 프랑스, 영국의 생각은 시리아를 공습하겠다는 것이 굳어진 것 같다. 지금까지 시리아 사태는 지정학적인 이유, 정치적인 이유 때문에 서방국가들이 본격적으로 개입하지 않았는데 화학무기 사용에 대해서는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는 것이 결론이 났다. 미국 국방장관도 그동안 시리아 개입에 소극적인 자세였지만 어제 대통령이 명령하면 즉각적으로 시리아에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가 돼있다고 이야기해서 사실상 공습의 초읽기에 들어간 것이다. 시장반응도 공습을 인정하고 그것에 맞게 움직이고 있다.

달러가 유로나 엔화에 비해 약하게 나타나는 것은 군사적인 위기가 고조되어 전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고 금가격도 많이 올랐다. 중동 쪽에 문제가 일어났으니까 당연히 오일 가격도 움직임이 그렇게 나타나고 있다. 시리아 사태가 어떻게 보면 일회성 이벤트일 수 있는데 공습이 끝나고 나면 조용해지는 것 아니냐고 할 수 있지만 전쟁이라는 것은 전혀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래서 시장이 가장 싫어하는 불확실성의 제공이라는 면에서 리스크가 되고 있다. 당분간은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질 것이다.

양적 완화 축소논란하고 같이 미국 연방 정부의 부채한도 상한문제는 굉장히 폭발력이 큰 재료다. 2011년도에도 이 문제 때문에 백악관과 공화당이 갑론을박을 하다가 결국 국가신용등급이 강등되는 사태로까지 파장이 커졌다. 2년 만에 똑같은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데 오바마 행정부는 부채한도에 대해 의회와 협상할 생각이 없다는 강경한 태도를 보이면서 선공을 날렸다. 제이콥 재무장관이 행정부는 연방정부 부채한도와 관련해서 협상할 생각이 없고 의회는 다음 달 회기가 열리면 곧바로 한도를 증액하라고 압박했다. 의회를 장악하고 있는 공화당 입장에서는 이런 협박에 대해 순순히 물러나지 않을 것이다.

공화당은 백악관에 대해 딜을 요구할 텐데 대표적인 것이 오바마 케어라는 의료 보장과 관련된 재정에 대해서 문제를 제기할 태세를 보이고 있고 재정지출을 줄이라고 압박할 것이다. 이렇게 되면 의회와 백악관이 평행선을 달리게 되기 때문에 2011년과 같은 혼란스러운 상황이 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당시에는 연준이 양적 완화라는 카드를 갖고 있었기 때문에 이 카드가 범퍼 역할을 충분히 해줬는데 지금은 양적 완화를 축소하는 논의가 되고 있어서 재정과 관련된 문제들이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정책이 별로 없다는 것이 큰 문제가 될 것이다.

인도나 인도네시아는 앞으로 한, 두 달이 최대 고비가 될 것이다. 그 시기가 시리아 폭격, 10월 중순까지 미국의 부채한도 협상이 끝나야 되는 시기와 맞물리고 있다는 것이 문제다. 인도는 3월 이후에 외환보유액이 140억 달러가 감소한 상태인데 아직 외환보유액이 2,700억 달러 이상을 보유하고 있어서 7개월 정도 수입할 수 있는 여유분이 있다.

리스크 요인들이 한꺼번에 폭발하면서 공격을 받게 되면 돈이 금방 소진될 수 있다. 인도는 내년 3월까지 대외 부채 43% 정도인 1,700억 달러 채무가 만기상환을 하게 된다. 채무의 연장 부분이 순조롭게 되는지 봐야 하고 다음 달 인도의 중앙은행 총재로 라구람 라잔 교수가 선임되는데 2008년 금융위기를 예측한 것으로 굉장히 유명세를 탔다. 라잔 총리가 인도 중앙은행을 이끌면서 경제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해법을 내놓을 것인지가 관전포인트다.

인도네시아는 조금 더 상황이 안 좋아서 달러 루피가 계속 공격 받으면서 국가신용등급의 조정이 나타나면 다시 한 번 판국을 맞게 될 것이다. 태국도 방어에 나서고 있는데 애초에 이머징 마켓의 문제는 양적 완화 축소 여파에서 시작된 것인데 다른 악재와 같이 맞물려 돌아가다 보니까 컨트롤이 안 될 수 있다. 그러면 미국의 양적 완화 축소시기가 시장의 요구에 의해 지연되는 사태가 올 수 있다. 양적 완화 축소가 지연된다는 것 자체가 좋은 모습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머징 쪽의 문제는 이머징 자체 문제라기보다 선진국하고 연결돼 있기 때문에 더 중요하다.

다자간 회담은 결론을 끌어내기 어려운데 시나리오를 짜보면 시리아 폭격이 조만간 이루어지고 이 영향으로 이머징 마켓 쪽 타격이 커지면 G20에서 긴급하게 정책공조가 만들어질 수 있다. 이머징 국가가 요구하는 것이 양적 완화 축소를 할 때 각국 중앙은행과 사전적으로 조율하자는 것이다. 2008년 리먼사태 당시에도 상당히 파급력 있게 시장을 진정시킬 수 있었던 것이 선진국과 이머징 마켓 국가 간의 통화스왑이었다. 이런 부분에 대해 G20회담에서 구체적인 안이 나올 순 없지만 정책적으로 교감이 이루어지게 되면 정말 위급할 때 통화스왑이 현실화될 수 있기 때문에 그런 부분에 있어서 G20회담에서 이런 논의들이 이루어지는 것을 기대해볼 수 있다.

월가의 컨센서스도 9월은 어려울 것으로 흘러가고 있다. 전미실물경제인협회에서 220여명의 경제학자들에게 설문을 돌렸는데 9월 중에 양적 완화 축소가 될 것이라고 응답한 경제학자는 10%밖에 안 되고 10월, 12월에 될 것이라고 예상한 것이 39%로 가장 높았다. 내년 1분기나 돼야 양적 완화 축소가 된다는 응답도 27%다.

시기상조라는 이야기들이 커지고 있는데 그린스펀 전 연준의장이 양적 완화 축소가 시장의 힘에 의해서 축소가 안 되거나 이 프로그램이 끌려갈 수 있겠다는 발언을 한 적이 있다. 지금 시리아 사태나 미국의 부채상한선 문제가 의도하지 않게 시장에서 요구하는 대로 양적 완화 축소시기를 늦추고 있는데 문제는 연준 내부에서도 축소시기나 방법이 아직 정리가 안 됐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버냉키의장이 임기를 끝내고 물러갈 상황에 있기 때문에 지도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9월 FOMC회의에서 중요한 것은 양적 완화 축소를 하느냐, 안 하느냐 보다 행동에 대한 이유를 시장에 설명하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하다. 만약 9월 초에 여러 가지 이유로 양적 완화 축소를 하지 못하게 된다면 시장에 설명해야 하는데 표면적으로 양적 완화를 축소하겠다는 논거는 미국 경제가 자발적으로 굴러갈 수 있다는 명분이다. 그런데 연기하게 되면 양적 완화라는 특별한 프로그램으로 돈을 퍼부었는데도 미국 경제가 돌아가지 못한다면 어떤 방법이 있겠느냐는 의구심이 바로 제기될 것이다. 따라서 양적 완화 축소가 연기되더라도 그것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필요하고, 반대로 단행되더라도 문제가 된다.

왜냐하면 양적 완화 축소가 기술적으로 굉장히 복잡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데 규모를 얼마나 줄일 것인지, 또 어떤 채권을 줄일 것이냐에 대한 스케줄이 나와야 한다. 그것이 국채만 매입을 축소하겠다고 하면 이유가 나와야 되고 일부에서는 모기지는 그대로 두자는 이야기가 있는데 지난 주에 있었던 잭슨홀 미팅에서 이런 아이디어들이 나왔는데 이런 결정 하나, 하나가 채권시장에 엄청난 영향을 주는 결정들이다.

따라서 단순히 양적 완화 규모를 줄인다고 말할 것이 아니라 행동 하나, 하나에 대한 디테일한 설명이 뒤따라야 한다. 따라서 시장과의 커뮤니케이션이 굉장히 중요한 9월 회의가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다음달 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텐데 커진다고 해서 겁을 먹을 필요가 없다. 잘 이용하면 이후의 시장 상황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차분하게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