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아시아 신흥국의 금융위기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지만 우리나라로 전이될 가능성은 낮다는게 정부 판단입니다.
정부는 우리 경제의 기초체력을 강조하며 투자심리 불안을 차단하는데 총력하고 나섰습니다.
김택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부는 우리 경제가 금융위기 불안감에 휩싸인 아시아 신흥국과는 차별화돼 있다며 선을 그었습니다.
이같은 자신감은 어디에서 나올까.
우리 경제 기초체력이 이들 신흥국과는 큰 차이가 나기 때문입니다.
이번 사태의 진원지로 꼽히는 인도는 대외부채가 4000억달러에 이르고 올해 1분기 경상수지 적자도 GDP의 4.8%에 이릅니다.
반면 우리나라는 지난 6월 72억4000만달러의 경상흑자를 기록하는 등 17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1년 안에 갚아야 하는 단기외채도 1196억 달러로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지난달말 기준 우리나라의 외환보유고는 3297억달러로 세계 7위 수준입니다.
현오석 부총리는 이같은 펀더멘털을 토대로 신흥국 금융위기가 한국으로 전이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진단했습니다.
다만 만약의 사태를 위한 긴장의 고삐는 늦추지 않고 있습니다.
정부는 미국 양적완화 축소 등 대외여건 변화에 따른 외국인 채권 투자자금의 유출 가능성에 대비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나섰습니다.
아울러 자금시장이 급변동할 경우 장기채 발행 축소 등 시기에 맞는 맞춤형 정책으로 적극 방어에 나설 방침입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만일을 대비해 중국 등 외국과 통화스와프 규모를 확대하는 것도 정부가 고려해볼만 하다고 조언했습니다.
한국경제TV 김택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