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재건축수주 '깐깐해졌다'

입력 2013-08-09 17:53
<앵커> 앞서 보신 것처럼 서울 시내 재건축 단지 추진이 미뤄지는 등 재건축 시장도 예전같이 않은 분위기입니다.

특히 사업성도 낮아져 건설사들도 수주에 조심스러운 모습입니다.

엄수영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에서 총 1천가구 이상의 재건축을 추진중인 단지는 모두 8만여가구.

이 가운데 사업 진행이 가시권에 들어온 조합이 설립된 단지는 고덕주공 2단지 등 4만여가구입니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 대부분의 단지는 안전진단이나 구역지정의 단계에 머물고 있어 2014년 말까지인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 유예의 혜택을 못받게 됩니다.

<인터뷰> 김규정 우리투자증권 부동산팀장

"조합설립 이후부터는 재건축 사업이 본격화되긴 하지만 사업승인이나 관리처분 인가, 이주 작업에 이르기까지 실제 착공 까지는 적어도 4~5년 이상 더 소요됩니다.

사업성이 낮거나 조합원간 대립이나 이견이 심한 단지의 경우에는 재건축 사업 기간이 더 길어지기도 해서."

금융위기 이후 재건축 사업성이 악화되면서 조합원들의 비용부담이 증가해 추진할 의지들이 예전만큼 강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여기에 주택시장의 장기침체로 대형 건설사들도 알짜 재건축 단지라 하더라도 조심스럽게 입찰에 나서는 모습입니다.

<인터뷰> 천정민 현대건설 건축민간사업실 차장

"분양시장이 위축돼서 재건축 사업장이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신규 수주시장도 선별적으로 우량한 사업장이 나올 경우 검토해서 참여할 계획."

이에따라 조합의 무리한 요구를 들어주면서까지 수주하기보다 시공만 하는 도급방식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실제로 확정지분제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하다 두 차례나 시공사 선정이 유찰됐던 고덕주공 2단지는 지난달 초 '공사내역 확정도급제'방식으로 대우·현대·SK건설 컨소시엄으로 시공사가 선정됐습니다.

<인터뷰> 천정민 현대건설 건축민간사업실 차장

"지분제 방식은 조합원들이 시공사들의 약속에 대해서 오해하는 부분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향후 사업 추진할 때 걸림돌이 될 수 있는 위험 소지가 많아서 건설사들 입장에서는 도급방식으로 많이 추진하고자 한다."

'황금알을 낳는 거위'였던 재건축 사업에 무작정 뛰어들었던 건설사들이 깐깐해지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엄수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