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등록금이 싸질 수 없는 이유는 따로 있었다.
교육부는 5일 교직원이 내야 할 사학연금 개인부담금을 학생들의 대학등록금으로 대신 납부한 사립대학교 명단을 공개했다.
4년제 대학은 29곳이었고 전문대는 7곳, 대학원은 1곳 등 총 39곳의 대학들이 상식밖의 행동을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연세대는 2000년 3월부터 지난해 2월까지 12년간 무려 525억원에 가까운 금액을 사학연금에 납부해 불명예의 1위를 기록했다.
연세대의 2013학년도 연평균 등록금은 850만 7천원으로 전국에서 두 번째로 비싼 등록금을 학생들에게 내게 하고 있다.
교직원들의 사학연금 납부로 빠져나가는 돈이 많았던 만큼 학생들에게 요구했던 등록금도 많았던 셈이다.
교육부는 사립대를 대상으로 감사를 벌인 결과 지난해 적발된 5개 대학을 포함한 44개 대학이 1993년부터 지난해까지 사학·개인연금, 건강보험료 등의 개인부담금 2천80억원을 교비회계 등에서 대납해 준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사학연금은 고용자와 사용자, 정부가 약 5:3:2의 비율로 부담해야 한다.
그러나 이번에 적발된 대학은 노사 단체협약을 맺을 때 고용자 부담분을 사용자인 대학이 내주기로 했다.
그리고 그 부담분은 대학에 등록금을 내는 학생들이 떠안게 되었고 결국 고액등록금이라는 논란은 계속 되어 왔다.
교육부는 감사 결과 발표 당시 대학명을 밝히지 않다가 여론의 명단 공개 요구가 계속되자 결국 이틀 뒤 이를 공개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대학명 공개이유에 대해 "명예훼손 등 법적인 문제로 공개하지 않았는데 학생과 학부모의 알권리를 충족해야 한다는 공공성 차원에서 공개하게 됐다"고 전했다.
연세대 이외에도 아주대는 192억여원의 등록금을 교직원 사학연금 대납에 사용했고 그 뒤를 한양대(177억여원), 영남대(135억여원), 계명대(122억여원)등이 이었다.
총신대는 1993년 3월부터 지난해 10월까지 19년 6개월 동안이나 학생들의 등록금으로 사학연금을 대납해 최장기간 1위에 이름을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