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술 사업화율 17% 그쳐

입력 2013-07-02 23:34
<앵커>

매년 수 많은 기술들이 개발되지만 정작 시장에서 수익으로 연결되는 기술은 10건 중 1건이 채 안됩니다. 특히 정보통신기술의 경우 수년째 무역수지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어 제도 개선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임동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국내 대학이나 공공연구소에서 개발된 기술들이 기업으로 이전되는 비율은 26%.

새로운 기술 10개 중 7개는 서랍 속에 묻혀있습니다.

기술이 이전 돼 실제 사업에 활용되는 비율은 17%에 불과하고 수익 창출까지 연결되는 비율은 6% 밖에 안됩니다.

특히 정보통신분야의 기술 계약 체결 건수는 해가 갈수록 감소하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R&D 투자로 기술 특허의 양적인 부분은 증가했지만 질적 성과는 여전히 부족한 것입니다.

기술 거래를 지원하는 인프라가 부족하고 수요자인 기업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체계가 미흡하기 때문입니다.

정보통신기술의 경우 특히 수명주기가 짧고 시장선점의 중요성이 크지만 평가와 인증 체계 등이 기관마다 달라 효율성과 신뢰성이 떨어지는 게 현실입니다.

<인터뷰> 윤종록 미래창조과학부 제2차관

“기술 거래와 기술 사업화 과정에는 넘어야할 다양한 문제들이 있고 이로 인해서 충분한 기술사업화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과 종합적인 기술평가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이와 함께 기술공급자에서 수요자로 이어지는 협력네트워크 구축과 기술거래에 대한 인센티브 확대 등이 우선 과제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정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실장

“기술거래측면, 기술거래 시스템 측면에서, 예를 들면 기술평가라든가 기술네트워크, 이런 시스템을 통해 실제로 사업화가 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창조경제의 핵심 축으로 평가받는 정보통신기술의 거래 활성화를 위해 범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임동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