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소상공인에 대한 정부 지원책이 지금까지는 직접적인 대규모 자금 지원과 함께 골목상권을 침해하는 대기업 규제로 모아져 일부 논란이 일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큰 틀에서 방향이 조금 달라질 전망입니다.
유은길 기자입니다.
<기자>
박근혜 정부 출범 100일을 맞아 소상공인 정책을 주관하는 정부 관계자들과 민간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여 소상공인들이 창조경제의 주역으로 나설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했습니다.
주제발표에 나선 김종운 한남대 교수는 “소상공인은 작은 조직으로 신속성·전문성·저비용 등을 바탕으로 유연한 혁신이 가능해, '기업형' 창업을 하거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직업군을 만들 수 있다”면서 “소상공인 창업 지원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안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불필요한 규제 완화와 사업 활성화 인프라 구축이 관건이라고 말했습니다.
<인터뷰> 김종운 한남대 글로벌비즈니스 교수
“이 분(소상공인)들이 영업을 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드는데 있어 어떻게 하면 인프라를 구축해 줘서 고부가가치화하는데 쉽게 적용하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인지가 핵심이 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다른 전문가 역시 이제는 전반적인 인프라 혁신으로 저비용 고효율의 소상공인 자생력 확보 방안에 힘써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인터뷰> 이윤보 건국대 경영대학 교수
“직접적으로 예산을 지원하는 것도 좋지만 제도라든다 간접적인 이런 인프라를 조성해 주는 것, 예를 들면 여러 가지 정보를 제공해 준다든다 교육, 훈련, 소상공인 정신교육 등 돈이 안들어가면서 인터넷이나 네트워크를 이용해 할 수 있는 이런 정책들에 중점을 두는 것도 바람직한 방향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에 대해 소상공인진흥원도 인프라 구축에 보다 신경쓰겠다고 화답했습니다.
<인터뷰> 이용두 소상공인진흥원 원장
“앞으로는 하반기에 인프라 확충에 신경쓸 계획입니다. 예를 들면 소상공인들이 정보가 비대칭인데, 이런 정보비대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권정보시스템을 저희가 갖고 있는데 이런 정보를 더 고도화하고 정확도를 더 높여 나갈 계획입니다.”
이어 소상공인 보호에서 앞으로는 자생력 확보 정책으로 점차 전환해 나가겠다는 입장도 밝혔습니다.
<인터뷰> 이용두 소상공인진흥원 원장
“그 동안은 대형마트 규제 영업시간 제한 등 나름대로 보호정책을 폈습니다. 그런데 앞으로는 소상공인 스스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또 새로운 부가가치를 찾는 이런 노력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그런 면에서 과당 경쟁이 일어나고 있는 그런 분야 보다는 새로운 직업 새로운 산업을 발굴해서 이런 쪽을 지원할 필요가 있습니다.”
박근혜 정부에서 각 종 지원책으로 소상공인이 창조경제의 핵심 성장 동력으로 나설 수 있을 지 관심이 모아집니다.
한국경제TV, 유은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