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개성공단 입주업체들의 피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지만, 상장기업들의 피해는 생각만큼 크지 않다는 게 채권은행들의 시각입니다. 문제는 미처 대비할 여력이 없었던 소규모 영세업체들입니다. 이근형 기자입니다.
<기자>
개성공단에서 시계를 생산하던 한 상장업체.
그동안 가동중단 사태가 수차례 벌어지면서 생산라인을 중국으로 꾸준히 돌린 결과, 피해규모는 전체 연간 매출액의 10%정도에 그쳤습니다.
커넥터 부품을 생산하는 또다른 상장사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은행 대출없이 자비로 시설자금을 충당했을 정도로 우량한 기업인데다 경협보험까지 가입돼 있어 70%이상을 보전받을 전망입니다.
주채권은행들은 이처럼 개성공단 입주업체들의 피해규모가 예상보다 크지 않은 수준이라고 평가합니다.
입점할 당시부터 우량한 기업인데다 여러차례 개성공단 가동중단 위기를 맞으면서 충분한 대비를 해왔기 때문입니다.
실제 이들 업체에 긴급자금 1천억원을 가장 먼저 지원하고 나선 우리은행의 경우 현재까지 대출실적은 고작 4억원에 불과합니다.
[인터뷰] 채권은행 관계자
“물론 타격이 없진 않겠지만 저희가 자체적으로 심각하게 받아들이진 않아요 사실..
언론이나 주변에서 듣는 얘기하고 막상 당사자 얘기 들어보면 괴리가 있어요"
반면 생산라인을 해외로 돌릴 여력이 없는 영세기업들은 피해가 상당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경협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27개 업체들은 아파트형 공장에 소규모 임대로 들어간 18개 사를 제외하면 시설과 부지매입금 전액을 날릴 위기에 처했습니다.
은행들은 개성공단 입주업체들에게 대출만기를 연장해주고 금리를 낮추는 등 금융지원에 나섰습니다.
기업들이 어려울 때 상장사를 위주로 지원이 이뤄졌던 기존의 관행에서 벗어나 영세업체 지원에 집중하는 노력이 절실해보입니다.
한국경제TV 이근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