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새정부 국정과제 가운데 하나로 국민연금을 비롯한 연기금의 의결권 행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주주가치 보호를 위해 의결권을 강화해야한다는 입장인데, 다음달 주주총회 시즌과 맞물려 국민연금의 행보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김종학 기자입니다.
<기자>
동아제약과 현대해상, 넥센타이어.
모두 국민연금이 주주총회에서 회사 분할과 이사선임에 반대표를 행사한 기업들입니다.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가 공시한 의결권 행사내역을 보면 국민연금은 지난 한해 518차례 주주총회에 참여해 의안의 18%에 대해 반대표를 던졌습니다.
국민연금의 '반대표' 행사 비율은 지난 2008년만 해도 5.4%에 불과했지만 지난해에는 경제민주화 바람을 타고 3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특히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기업지배구조개선의 일환으로 이러한 공적 연기금의 의결권을 강화하는데 힘을 실어주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국민연금의 반대표 행사는 앞으로 더욱 늘어날 전망입니다.
<인터뷰> 정재규 한국기업지배구조원 연구조정실장
"국민연금이 의결권을 행사하는 것은 좀 더 적극화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지고요. 반대율이 비교적 높게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데, 기존의 미흡했던 관행을 개선시키는 측면에서는 바람직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국민연금이 5% 이상 지분을 보유한 기업은 지난해 11월 기준 222곳에 이릅니다.
국민연금이 최대주주인 삼성물산, 포스코 등은 물론 2대 주주에 올라있는 삼성전자와 현대차 등도 국민연금의 의결권 행사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다만 전문가들은 국민연금의 의결권은 강화하되, 투자자들이 납득할 만한 투명성을 갖추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인터뷰> 이인형 자본시장연구원 자본시장실장
"국민연금 자체도 의사결정이 불투명하면 반대표를 던졌다는 것인 경영적인 측면이 아니라 정치적 입장이라고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잖아요. 연금사회주의라는 말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그런면에서 투명성과 전문성이 보강이 돼야되겠죠"
그동안 오너 중심의 기업지배구조에 묶여 주주가치 보호 등 제역할을 못해왔던 주주총회.
380조원을 운용하는 국민연금의 의결권에 한층 무게가 실리면서 투자 기업의 경영은 물론 지배구조에 적잖은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한국경제TV 김종학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