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빈곤층에서 탈출하는 가정의 비율이 계속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사회연구원의 '2012년 한국복지패널 심층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05년부터 2009년까지 5년동안 5천637가구의 소득 추이를 추적·분석한 결과 가처분소득 기준으로 2005~2006년 35.4%였던 빈곤탈출률이 2008~2009년에는 31.3%까지 낮아졌다.
이번 연구에서 '빈곤'의 기준은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전체 가구 소득 순위상 중간값)의 50%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로 설정됐다. 가처분소득은 근로·사업·재산·이전소득을 합한 경상소득에서 조세·사회보장부담 등을 뺀 것이다.
경상소득 기준 빈곤탈출율 역시 2005~2006년 32.6%에서 이후 해마다 낮아져 2008~2009년에는 28.8%로 집계됐다.
또 빈곤진입률은 5년동안 가처분소득 기준 6.7~7.7%, 경상소득 기준 6.5~7.3% 범위 안에서 해마다 등락을 거듭했다.
보건사회연구원은 "빈곤진입률은 일정 범위에서 등락하는 반면 빈곤가구가 가난에서 탈출하는 비율이 점차 낮아지는 것은 '반복 빈곤', '장기 빈곤'에 따른 빈곤의 고착화 가능성을 시사한다"며 "단순한 소득 보조가 아니라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통해 빈곤 가구가 장기적으로 소득 이동성을 확보하는데 복지 정책의 초점을 맞춰야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