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난 5월 중견중소기업 육성을 목표로 정부는 대기업의 공공정보화 사업 참여를 제한했습니다.
하지만, 당초 취지와는 다르게 공공 SI 시장은 오히려 외국계 업체들의 먹잇감으로 전락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된 영문인지 신동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최근 국내 시스템통합(SI)업체들의 전문 인력이 대거 외국계 회사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하반기 들어 글로벌 IT업체들이 공공정보화부문 전문 인력에 대한 대대적인 스카웃에서 나섰기 때문입니다.
<전화인터뷰> 해외 IT업계 관계자
"자세히는 말씀드릴 수 없지만 그쪽으로 비중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다른 외국 업체들도 보면 채용도 늘고..확대된다고 볼 수 있죠.."
이처럼 외국계 SI 업체들이 국내 전문인력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국내 공공 SI 시장이 새로운 블루오션으로 떠 올랐기 때문입니다.
2013년 정부부처의 정보화 예산은 3조 3,000억원.
매년 3조원 규모 이상 예산이 책정되는 거대시장이지만 국내 대형 SI업체들은 내년부터 공공정보화시장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
지난 5월 개정된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이 '중견중소기업들의 육성'이라는 취지로 대기업의 공공정보화 사업 참여를 제한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정작 중견IT업체들은 자신들이 받는 혜택은 실제로는 없다고 아쉬움을 토로합니다.
<전화인터뷰> 중견 IT 업체 관계자
"발주되는 규모가 크기 때문에 우리 같은 중견기업들은 그것을 시행하기가 어렵습니다"
중견기업의 활성화라는 법의 취지가 무색해진 겁니다.
이 시장은 결국 외국계 SI 기업들의 좋은 먹잇감이 되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이런 분위기를 반영하듯 IBM의 경우 최근 회사 내에 공공정보화 사업을 위한 테스크포스팀을 꾸렸습니다.
오라클도 지난 7월 최고경영자인 래리앨리슨이 처음으로 우리나라를 방문하며 이 분야에 큰 관심을 나타냈습니다.
국내 중견기업들의 활성화를 위해 시작된 소프트산업진흥법 개정안.
하지만 이번 법안으로 국내 기업에 대한 역차별 논란과 함께 글로벌 기업에 시장을 완전히 내 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신동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