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병 우려 높으나 정기적 검진 비율은 오히려 일반인보다 낮아
- 가족간 소통과 대화 유방암 치료에 도움된다 70%, ‘괜찮다’는 말 가장 도움
- 질환에 대한 우려, 실제 검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가족 간 독려해야
(한국유방암학회=2012/10/29) 한국유방암학회(회장: 조세헌/이사장: 박찬흔)은 2012년 핑크리본 캠페인의 하나로 ▲환자 195명 ▲환자의 여성 가족 127명 ▲일반인 112명 등 총 434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유방암 인식조사를 결과를 발표했다.
- 유방암 환자?가족 유방암 발병 걱정, 정기 검진 실천은 일반인보다 낮아
인식 조사 결과, 유방암 환자와 가족 모두 진단 이후 가족 구성원의 유방암 발병을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의 69.7%(136명), 환자 가족의 74%(94명) 등 절반이 넘는 숫자가 본인(가족)의 진단 이후 가족 구성원의 유방암 발병을 걱정하고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우려가 실제 검진으로 이어지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나 대조를 이뤘다. 실제 검진 경험 비율은 오히려 일반인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주기적으로 검사를 받고 있다고 답한 사람은 일반인은 56%(28명)로 환자 가족 53.1%(17명)를 근소하게 앞섰으며, 유방암 자가 검진법에 대한 인지도 일반인이 56.3%(63명)로 환자 가족의 50.4%(64명)보다 높았다.
실제 자가 검진 실천 비율도 일반인이 더 높았다. 1달에 한 번 정기적으로 검사를 시행한다고 답한 비율이 일반인에서는 15.9%(10명)였으나, 환자 가족은 절반 정도인 7.8%(5명)에 불과했다. 비교적 일정하게 검진을 시행한다고 답한 사람도 일반인은 25.4%(16명)였으나, 환자 가족은 14.1%(9명)에 그쳤다.
환자 가족이 유방암 검진을 받기 어려운 주된 이유로 꼽은 것은 ▲유방암 검사에 대해서 잘 몰라서(40%) ▲시간이 없어서(20%) ▲나와 상관없는 일 같아서(18.6%) 등이었다. 반면 일반인은 나와 상관없는 일 같아서(37.5%)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으며, 유방암 검사에 대해 잘 몰라서(30.4%)라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 적극적 의사 소통이 치료 과정에 도움, 여성 가족간 정기 검진 독려 필요
여성 환자가 대부분인 유방암 환자와 여성 가족 간의 의사소통 수준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제 유방암 검진으로 이어지는 비율은 높지 않았다.
유방암 치료 과정에 대해 가족이 잘 알고 있다고 답한 비율이 환자는 77.5%(151명)이었으며, 환자 가족은 62.2%(79명)로 나타났다. 발병 이전보다 발병 이후 대화 빈도가 늘어났다고 답한 환자는 75.9%(139명)였으며, 대화 빈도가 늘어났다고 답한 환자 가족 역시 86.7%(110명)나 되었다. 대부분 환자?환자 가족이 치료 과정에 관해 관심이 높았으며, 진단 이후 대화가 더 활발해졌다고 답했다.
가족 간의 대화가 실제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환자?환자 가족 역시 다수를 차지했다. 환자의 69.2%(135명)가 가족 간의 대화가 치료 과정에 도움이 된다고 답변했다.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답한 사람은 3.6%(7명)에 불과했다. 치료 과정에 가장 도움이 된 말로 ‘괜찮다, 걱정하지 말아라’를 꼽은 환자가 36.2%(55명)었으며, ‘긍정적으로 생각하라’를 꼽은 환자가 25.7%(39명)로 뒤를 이었다.
환자(가족)의 발병 이후 유방암 진단을 독려한다는 응답자도 많았다. 유방암 진단 이후 다른 사람이나 가족에게 유방암 검진을 권했다는 환자(가족)이 70%를 넘었다. (환자 77.9%, 환자 가족 75.6%) 반면, 실제 유방암을 진단받은 환자 중 가족의 권유로 유방암 검사를 받았다고 답한 비율은 단 3.1%(6명)에 그쳐 질환에 대한 우려가 실제 가족의 검진으로 이어지지는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유방암학회 박찬흔 이사장은 “여성 환자가 대부분인 유방암은 치료만큼 가족 간의 소통과 위로가 중요한 질환이다.”라며, “가족 내에 유방암 발병 환자가 있다면, 관심을 두고 정기 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적극 독려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번 유방암 인식 조사는 2012년 6월부터 2012년 8월까지 시행되었으며, ▲환자 195명 ▲환자의 여성 가족 127명 ▲일반인 112명 등 총 434명이 참여했다.